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한항공, 2.2조 자금 확충…유상증자 1조원 추진
13일 이사회서 결의
한진칼은 내일 이사회 열어 유증 참여 논의
사업부 매각 논의는 '아직'
[연합]

[헤럴드경제] 대한항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유상증자 1조원을 포함한 2조2000억원 규모의 자금 확충에 나선다.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경영난을 겪어 온 대한항공의 숨통이 트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날 오전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3시간 동안 이사회를 열어 유상증자 방안을 의결한 뒤 장 마감 후 이를 공시했다.

대한항공이 유상증자에 나서는 것은 2017년 4500억원의 유상증자 이후 3년 만으로, 조 단위의 유상증자는 사상 처음이다.

이번 유상증자는 주주 우선 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진행된다. 유상증자로 새로 발행되는 주식 수는 7936만5079주이며, 예상 주당 발행가격은 1만2600원이다.

유상증자가 이뤄지면 대한항공의 전체 발행 주식은 기존 9595만5428주에서 1억7532만507주로 증가하게 된다. 최종 발행가액은 7월6일 확정될 예정이며, 신주 상장은 7월29일에 이뤄질 계획이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6월8일이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의 대주주인 한진칼도 유상증자에 참여하기 위해 지분율에 따라 3000억원가량을 조달할 것으로 보인다. 한진칼은 현재 대한항공의 지분을 보통주 기준 29.96%(우선주 포함 29.62%) 보유하고 있다.

다만 작년 연결 기준 한진칼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412억원에 불과해 추가 자금을 확보하려면 유상증자나 지분 또는 부동산 담보 대출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한진칼은 14일 이사회를 열고 대한항공의 유상증자 참여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다만 추가 자금 확보 방안은 추후 별도 이사회를 열어 결정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한진칼 경영권 분쟁 등의 상황을 고려하면 한진칼이 직접 유상증자를 하기보다는 자회사인 한진과 정석기업 등의 지분, 또는 정석기업이 가진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받아 자금을 마련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진칼의 자금 확보에 따라 대한항공의 유상증자 성공 여부도 갈릴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이날 이사회에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에서 지원받는 1조2000억원 규모의 차입 실행 방안도 논의했다. 항공화물 매출채권을 담보로 하는 700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증권과 주식전환권이 있는 3000억원 규모의 영구채권 발행 등이 결의됐다. 또 2000억원의 자산담보부 차입도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산은과 수은은 지난달 24일 대한항공에 운영자금 2000억원 지원, 화물 운송 관련 자산유동화증권(ABS) 7000억원 인수, 전환권 있는 영구채 3000억원 인수 등을 통해 총 1조20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다만 이날 이사회에서는 일각에서 제기됐던 기내식과 항공정비(MRO) 사업 부문 매각 등의 논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자본 확충을 위한 자구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 종로구 송현동 부지, 왕산마리나 운영사인 왕산레저개발 지분 등 자산 매각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크레디트스위스(CS)에 전문사업 부문의 재편 방안을 검토해 줄 것을 의뢰한 상태다.

이외에도 최대 15%까지 할인 가능한 선불 항공권을 지난달 17일부터 판매하는 등 각 부문에서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