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태호 “언제든 0석 될 수 있다…관악 통째로 바꿀 것”[21대 국회, 주목! 이사람]
“청와대 출신 조직화, 국정운영에 도움 안돼”
“임금격차해소 특별법 준비할 것…성과 내야”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이상섭 기자 babtong@heraldcorp.com

[헤럴드경제=이현정 기자]정태호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은 “180석이란 의석이 언제든지 0석이 될 수 있다”며 여당의 겸손함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국민의 뜻을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언제든지 심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해줬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당선인은 이번 21대 총선에서 서울 관악을에서 오신환 미래통합당 후보를 상대로 12.2%포인트의 격차로 승리했다. 19대 재보궐 선거부터 세 번에 걸쳐 만난 숙명의 대결에서 마침내 이긴 것이다.

정 당선인을 수식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청와대 일자리 수석’과 ‘광주형 일자리’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상생형 일자리 모델로 그가 청와대 일자리수석비서관으로 있었을 당시 협상을 주도해 만든 것이다. 그는 정책기획비서관이었던 시절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를 짜기도 했다.

정 당선인은 이제 관악의 일자리 창출에 본격 나선다. 그는 총선 공약으로 ▷창업·벤처 밸리 조성 ▷난곡선 경전철 조기 착공 ▷신림 상권 르네상스 구축 등을 내건 바 있다.

그는 “총선 공약을 통해 관악을 통째로 바꿀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가 가장 관심을 둔 분야는 일자리 창출과 함께 임극격차 해소다. 그는 1호 발의 법안으로도 임금격차해소 특별법을 준비할 계획이다. 상임위 역시 일자리 창출과 연관이 깊은 기재위, 산자위, 환노위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정 당선인은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나 노사 타협이 이뤄줬을 때 인센티브를 주거나 재정·금융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을 연구해볼 것”이라고 했다.

이번 총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한 청와대 출신 인사만 19명에 달한다. 일각에선 이들이 당 내에서 특정 역할을 주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그는 이에 대해 “당 내에서 특별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당정청이 시스템으로 움직여야 한다”며 “자신이 하는 일에서 청와대와 정부가 하는 일을 도와주고 뜻을 잘 전파할 순 있어도 청와대 출신 인사들이 조직적으로 무언가를 하는 것은 맞지도 않을 뿐더러 국정운영에 도움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회 문화의 개선을 위해선 제도화와 함께 문화의 정착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정 당선인은 “우리 정치가 전진하기 위해선 국회 내에서 타협할 수 있는 문화를 어떻게 제도화시켜서 문화로 발전시킬 수 있는가가 관건”이라며 “이는 곧 우리나라 정치가 질적으로 변하는데 중요한 방향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선진화법이 지켜지지 않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단순히 제도화를 통해서만 문화가 정착되긴 어렵다”며 “실질적인 정치 문화로 굳어질 수 있도록 여야가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 당선인은 성과주의자다. 4년 후에도 성과를 낸 국회의원으로 기억되는 것이 목표다.

그는 “아무리 정책 방향이 좋아도 성과가 없으면 의미가 없다”며 “임기가 끝났을 때 개인 브랜드가 있는 정책을 제도화한 의원으로 남고 싶다”고 했다.

re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