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톡 민원에서 화상 회의까지…여의도 정치도 ‘비대면’ 시대로
지난 총선 ‘마스크 선거운동’ 활성화
SNS 홍보·유튜브 라이브 의원 늘어

코로나19는 ‘정치 관행’도 바꾸고 있다. 대규모 군중집회나 길거리 악수 대신 온라인 선거운동과 모바일 경선이 발빠르게 정치권을 파고들기 시작했다.

코로나19는 현장유세 문법을 바꿨다. 이번 4·15총선은 선거유세를 최소화해 ‘조용한 선거’라 불렸다. 출마한 후보들 역시 현장 유세·악수·포옹 등 스킨쉽에 중점을 두던 이전 선거와는 다르게 시민들과 한발짝 떨어져 선거운동에 나섰다.

길거리 선거운동도 악수 대신 마스크가 대신했다. 파랑·핑크·노랑 등 각 정당을 상징하는 색의 마스크를 쓰고 말없이 피켓을 든 선거운동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선거운동의 대표적인 모습이다. 과거 정당색을 띤 옷을 입거나 넥타이를 매고, 확성기로 지나가던 유권자의 시선을 잡았다면, 이제는 마스크를 쓰고 침묵의 인사를 하는 선거운동이 대세가 됐다.

선거운동 같지 않은 이벤트를 시도를 하는 후보도 있었다. 악기를 연주하거나 말을 타고 출정식을 갖고, 밤 거리를 본인 이름을 새긴 LED홍보단과 활보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해 힘들어하는 의료원 등을 찾아 봉사활동을 하는 것도 유행이 됐다.

가장 큰 변화는 시공을 뛰어넘는 온라인·모바일 정치의 등장이다. 홍보책자, 문자메시지, 블로그 활동 대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용이 완전히 자리잡았다.

본인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출연하는 것은 필수가 됐다. 후보들은 선거 운동 때에도, 당선된 후에도 적극적으로 홍보 영상·라이브 방송을 통해 국민들과 소통에 나섰다. 창당대회를 비대면으로 진행하거나 당선자들이 삼삼오오 모여 모임을 만들고 그 내용을 생중계 하기도 했다.

비대면 정치의 활용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미 여러 의원들은 ‘국민 메신저’라 불리는 카카오톡을 사용해 지역구 민원을 받고 해결해주거나 제보를 받아 법안을 발의하기도 한다.

‘줌(ZOOM)·스카이프’등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활용하던 프로그램을 이용해 소통을 원하는 국민들과의 대화에 나서겠다는 국회의원도 있다.

전문가 역시 비대면 정치의 확대를 예상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는 “비대면 정치는 더 빠르고 확대될 것”이라며 “의원·국민들 모두 비대면 소통의 장점을 경험했기 때문에 여의도에 비대면 정치 바람은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정호·김용재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