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의연 “회계감사·공시절차로 후원금 투명하게 관리”
8일 입장문 발표…이용수 할머니 회견내용 반박
“후원금, 할머니 지원 외 각종 활동에 사용해 와”
“李할머니 말씀 되새겨 돌아보는 계기로 삼겠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지난 7일 오후 대구 남구의 한 찻집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수요집회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며 관련 단체를 비난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이용수(92) 할머니가 회계 문제 등을 제기하며 비판한 내용에 관해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모금 사용 내용을 정기적인 회계감사를 통해 검증받고 공시 절차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정의연은 8일 입장문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인권운동가로 30년을 살아오신 이 할머니의 기자회견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봤다”며 “30년간 한결같은 마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인권과 명예회복을 바라며 정의연의 운동을 지지하고 연대해오신 분들의 마음에 예상치 못한 놀라움과 의도치 않은 상처를 드린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 남구의 한 찻집에서 회견을 통해 “수요집회를 없애야 한다. 하나도 도움이 안 된다. 참가한 학생들이 낸 성금은 어디 쓰는지도 모른다”며 정의연을 비판했다. 이어 “현금 들어오는 거 알지도 못하지만 성금·기금 등이 모이면 할머니들에게 써야 하는데 (정의연이)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며 30년 가까이 위안부 대책 관련단체에 이용당했다는 취지의 주장도 했다.

이에 정의연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발표 이후에도 끝까지 일본 정부 위로금 수령을 반대하며 싸워주신 이 할머니를 비롯한 피해자 8명에게 2017년 하반기 ‘100만 시민 모금’을 진행해 조성된 기금으로 개인당 1억원을 여성인권상금으로 전달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정의연은 후원금을 피해 할머니 지원, 위안부 문제 국제사회 인식 제고를 위한 활동, 수요시위 개최, 피해자 소송 지원, 관련 콘텐츠 제작 사업 등에 사용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아울러 정의연은 이 할머니가 회견 당시 “위안부 문제는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현 정의연) 대표였던 윤미향 씨가 와서 해결해야 한다. 윤씨는 국회의원을 하면 안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정의연은 “윤 전 대표가 올해 3월 20일 대표직을 사임하고 국회의원 비례대표로 출마하게 됐을 때, 이 할머니께서는 축하하는 마음과 함께 당연히 가족을 떠나보내는 서운함과 섭섭함을 느꼈을 것”이라고 했다.

정의연은 “충분히 이해하고 깊게 새겨야 할 부분”이라며 “그럼에도 정의연 활동가들은 언제나 할머니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단 한 순간도 잊은 적 없음을 강조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이번 일을 30년 투쟁 속에서 노력해온 정의연 활동에 부족한 지점이 없었는지 돌아보는 계기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po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