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플&데이터] 초선 지지업고 巨與 원내사령탑 오른 김태년…개혁법안 통과·對야당 협치 리더십 시험대에

“문재인 정부의 과제와 우리 당이 약속드렸던 개혁과제들을 21대 국회에서 반드시 완수하겠다.”

“미래통합당 신임 원내대표가 되실 분께서도 ‘제대로 일해보라’는 국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새출발을 위해 함께 해주실것을 요청드린다. 20대 국회가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해선 여야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20대 국회 임기가 끝나기 전에 국민을 위한 법안 하나라도 더 처리할 수 있길 기대한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가 당선 후 첫날 첫 회의인 8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한 말이다. 더불어시민당과의 합당 후 177석인 거대여당의 원내대표로서 야당인 통합당과의 협치, 문재인 정부 후반기 2년 ‘개혁입법’이라는 두 가지 과제가 명징하게 담겼다.

김 원내대표는 전날 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에서 예상을 깨고 1차 투표만에 과반 득표로 승리했다. 전체 163표 중 82표를 얻었다. 지난해 이인영 원내대표에게 밀려 2위를 차지했던 김 원내대표는 권토중래 후 결국 재수에 성공했다.

마지막 순서였던 정견 발표 중에는 ‘울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낙선 후 성찰의 시간 동안 많은 의원님들을 만나 속 깊은 말을 들었고 한 분 한 분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달았다”며 “반드시 일로 성과를 내겠다. 일할 기회를 달라. (내게) 더 이상의 원내대표 선거는 없다”고 절실함을 강조했다.

복잡한 당내 상황 속 초선의원들의 표가 승패를 갈랐다. 김 의원이 초선의원의 마음을 잡았다. 한 초선 당선인은 선거직후 “당선된 김태년 의원의 정견발표가 가장 진정성 있게 다가왔다”며 “(결과를 보면)아무래도 초선의원들 표가 많이 쏠리지 않았나 싶다”고 설명했다.

‘정책통’이라는 평가도 김 의원의 승리에 한 몫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해찬 대표의 측근으로 실세 당권파인 동시에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와 두 차례 정책위의장을 경험해 추진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낙승했지만, 그의 리더십 테스트는 지금부터다. 20대 국회 마무리, 21대 국회 원 구성, 코로나19 관련 3차 추가경정안(추경) 통과 등 중대 과제가 산적해 있다.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쓴 20대 국회를 잘 마무리 짓고 21대 국회 원 구성을 이어가야 한다. 야당과의 협치 없인 그 어떤 결과물도 기대할 수 없다.

이를 의식한 듯 김 원내대표는 “정성을 들여 진정성을 갖고 끈질기게 대화하고 타협하겠다”며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일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을 선제적으로 합의를 통해 마련했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당선직후 첫 과제로 ‘일하는 국회법’ 통과를 꼽았다. 야권과 대 충돌이 불가피한 지점이다. 당선 직후 기자들과 만나 “총선 과정에서 나타난 엄중한 민의가 국회보고 일하라는 것”이라며 “여야를 떠나 국회가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역할을 하자는 것이기 때문에 야당도 적극 협조해줄 것이라 기대한다”고 압박했다. 하지만 다수당에게 모든 것을 내놓고 이끌려다니기만 할 야당은 이 세상에 없다.

협치와 주도권 싸움이라는 상반된 당선 소감에 담긴 딜레마다. 전대협 1기 상임운영위원을 맡았던 김 원내대표가 ‘포스트코로나’를 대비하는 21대 국회에서 방향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향후 거대여당에 대한 평가도 결정될 것이다.

김용재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