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34년까지 석탄발전 절반 ↓·신재생에너지 40% ↑
전력수급 워킹그룹 논의결과 발표

정부가 30년이상 가동한 노후 석탄발전기를 2034년까지 모두 폐지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현재 석탄발전기 60기 중 절반인 30기(15.3GW)가 운전을 멈춘다. 전력 부족분은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된다.

또 원자력발전은 2024년 26기로 정점을 찍은 후 점진적으로 감소해 2034년에는 17기까지 줄인다. 그러면 원전은 전체 설비 중 9.9%에 불과, 한 자릿수대로 떨어진다. 이에 따라 원전과 석탄발전의 비중은 현재 46.3%에서 15년후 24.8%로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15.1%에서 40.0%로 크게 확대된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지난해 3월부터 51차례의 회의를 거쳐 수렴한 주요 논의 결과를 발표했다.

워킹그룹은 계획안에서 2034년 최대전력수요를 104.2GW, 최대전력수요의 연평균 증가율은 1.0%로 전망했다. 8차 계획의 연평균 증가율 1.3%보다 0.3%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전력수요는 올해 경제성장률 수정치를 반영할 경우 상세 내용이 바뀔 수 있다.

석탄발전은 보다 과감한 감축이 추진될 예정이다. 2034년까지 가동 후 30년이 도래되는 모든 석탄발전기를 폐지한다. 그러면 현재 석탄발전기 60기 중 절반인 30기(15.3GW)가 운전을 멈춘다. 대신 이 중 24기(12.7GW)는 LNG 발전기로 전환해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만전을 기한다.

원전은 2024년에 26기(27.3GW)로 정점을 찍은 후 점차 줄어 2034년에는 17기(19.4GW)로 줄어들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는 2034년까지 62.3GW의 신규설비를 확충함으로써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상 보급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한다.

반면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5.1%에서 40.0%로 확대된다. LNG는 32.3%에서 31.0%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며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워킹그룹은 8차 계획에서 석탄발전 10기를 폐지하기로 확정한 데 더해 이번에 2030년까지 석탄 14기를 추가로 줄이기로 함으로써 2018년 7월 ‘온실가스 감축 수정로드맵’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비롯해 추가적인 석탄발전량 제약 방식도 필요하다면 시행하도록 했다. 배문숙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