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원전기업 3곳 중 1곳 “코로나19 피해”…예상피해액 400억 넘어
한국원자력산업協 설문…“코로나 피해” 29%
“향후 피해 예상” 61%…피해예상액 431억원
발주물량 축소·자가격리 따른 근무인력 등 손실

[헤럴드경제 천예선 기자] 탈원전 정책으로 직격탄을 맞은 국내 원전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세 곳 중 한 곳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당장 확인된 피해액은 72억원이었지만 향후 코로나19가 장기화할 경우 예상 피해액은 431억원으로 6배 가량 폭증할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KAIF)가 최근 국내 원전기업 57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바이러스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178개사 중 29%(53개사)가 “코로나19로 경영에 피해를 겪었다”고 답했다. 피해 규모는 총 72억원에 달했다.

가장 피해가 큰 분야는 ‘발주처 발주물량 축소(45.3%)’가 꼽혔다. 이어 ‘원자재 조달 제한(30.2%)’, ‘자가격리로 인한 근무인력 손실 및 생산량 축소(24.5%)’ 순이었다. 이밖에 영업활동 불가, 해외 발주처 사업 연기, 자격인증 교육 취소, 한수원 납품 지연 등이 기타 의견(35.8%)으로 제시됐다.

문제는 코로나19 확산세의 장기화다. “향후 피해가 예상된다”고 응답한 기업은 109개사(61.2%)로, 기존 피해 기업보다 배 이상 많았다. 이들 기업의 예상 피해액은 431억원으로 추산됐다.

최대 피해 분야로는 ‘자가격리로 인한 근무인력 손실 및 생산량 축소(58.7%)’가 지목됐다. 그 다음으로 ‘발주처 발주물량 축소(33.9%)’와 ‘원자재 조달 제한(28.4%)’이 이어졌다. 기타의견(12.8%)으로는 ‘공정 지연으로 인한 매출 발생 지연’, ‘근무 시간 단축으로 인한 납기 준수 불확실’, ‘해외 출장 제한’, ‘공정 지연으로 인한 고정비 지출’ 등이 나왔다.

국내 중소 원전업계는 지난 3년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고사 위기에 몰렸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원전 대기업인 두산중공업이 유동성 위기로 강력한 구조조정을 실시하면서 납품업체들의 일감은 더욱 줄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원전기업들은 위기 타개를 위해 ‘해외사업 수행시 발생하는 불가피한 체재비 지원’, ‘납품 및 공사 일정 충족을 위한 납기 연장’, ‘코로나19 피해로 인한 손실 부분 보전’ 등 지원책을 호소했다.

일반 지원으로는 판로 개척 및 발주물량 확대, 발전소 인접 지역에 대한 혜택 부여, 입찰 평가시 저가 입찰자에 대한 명확한 기술력 평가 요청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KAIF 측은 “이번 조사결과를 산업통상자원부와 논의한 결과, 원전기업이 느끼는 애로사항이 코로나19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라기 보다 기존에 제기됐던 사항이 많았다”며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지원 예산을 통한 지원 등 대책을 수립하고 지원 가능 분야를 지속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2월 26 일부터 3월 2일까지 온라인과 전화 조사를 통해 실시됐으며 KAIF 월간지 ‘원자력산업’ 4월호에 실렸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