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천 화재 무섭다”…서울시, 건축공사장 긴급 현장 점검
7~8일, 용접·용단 작업 시 안전 지도
지난달 29일 대형 화재가 발생한 이천 물류창고의 모습. [연합뉴스]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7~8일 이틀간 시내 대형 건축공사장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긴급현장 안전점검’을 벌인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9일 경기 이천 물류창고 건축공사장 화재로 다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공사장 내 작업 환경을 점검,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 차단하기 위해서다.

지난 1~5일에 1차로 현장 점검을 한 데 이어 이번이 2차 점검이다.

점검 대상은 연면적 2000㎡이상의 건축공사장이다. 점검에선 건축공사장 관리책임자(현장소장)에 대해 2018년 1월 4일부터 건축공사장 화재안전조치 의무가 강화 시행되고 있는 ‘서울특별시 화재예방조례’를 준수할 것을 확인시킨다. 화재 위험성이 높은 용접·용단 작업 때 현장 안전관리책임자 입회·감독하에 반드시 소화기를 휴대해 작업하도록 지도한다.

또한 건축공사장 임시소방시설 설치 상태, 정상작동 여부도 현장에서 확인할 예정이다. 법 상 용접·용단 등 화재위험작업 공사현장에는 소화기, 간이소화장치, 피난유도선 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또한 작업장 주변 반경 10m 이내에는 가연물을 쌓아 두거나 놓아두지 말아야 한다. 용접작업 후에는 30분 이상 작업장 주변에 불씨가 남아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서울시 건축공사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452건이며, 이로 인해 사망 3명을 포함해 23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연도별 화재는 2017년 165건, 2018년 161건, 2019년 126건이다.

건축공사장 화재 원인별로 부주의가 가장 많은 353건(78.1%)을 차지했다. 전기적 49건(10.8%), 기계적 7건(1.5%), 화학적 2건(0.4%), 미상 39건 (8.6%) 순이다.

가장 큰 원인인 부주의 353건을 분석한 결과, 용접·절단·연마가 184건(52.1%)으로 반을 넘었다. 이어 담배꽁초 69건(19.5%), 불씨·불꽃·화원방치 54건(15.2%), 가연물 근접방치 21건(5.9%), 기타 부주의 8건(2.3%) 순이었다.

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건축공사장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대부분은 작업자가 주의를 기울이면 예방할 수 있다”며 “특히 용접·용단 작업자 외 1명을 별도의 감독자로 지정해 주변으로 비산되는 불티를 확인하는 것이 화재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다”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