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00광년 떨어진 '조용한' 블랙홀 발견…관측 블랙홀 중 가장 가까워
블랙홀을 품은 삼중성계 HR 6819 상상도. [연합뉴스·ESO/L. Calcada]

[헤럴드경제] 지구에서 약 1000광년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항성질량 블랙홀이 관측돼 학계에 보고됐다.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가까운 블랙홀로 기록됐다.

유럽남방천문대(ESO)에 따르면 이 천문대 소속 천문학자 토마스 리비니우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칠레 라 시쟈 관측소의 MPG/ESO 2.2m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를 과학저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 최신호에 발표했다.

해당 발표에 소개된 블랙홀은 두 개의 짝별을 동반했다. 두 별 중 안쪽 별이 40일 주기로 숨겨져 있는 블랙홀을 돌고, 다른 별 하나는 멀리서 이 둘을 도는 구조로 돼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이 두 별은 지구에 가까이 있어서, 맑은 날에는 어두운 남반구 밤하늘에서 망원경의 도움 없이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논문 공동저자인 칠레 과학원 천문학자 페트르 하드라바 박사는 "이 항성계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중 가장 가까운 블랙홀을 품고 있다"면서 "우리가 관측한 것이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블랙홀을 가진 첫 항성계라는 것을 확인하고는 깜짝 놀랐다"고 전했다.

이 블랙홀은 주변 환경과 폭력적으로 상호작용하며 X선을 내뿜지 않아 어두운 우주에서 검은색으로만 보이는 항성질량 블랙홀로 확인됐다. 그러나 연구팀은 두 별 중 안쪽 별의 궤도를 분석해 질량을 계산했고, 태양 질량의 적어도 4배 이상 되는 보이지 않는 천체는 블랙홀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발견은 X선을 내뿜지 않는 조용한 블랙홀들이 어디에 숨어있는지 단서를 제공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리비니우스 박사는 "우리 은하에 수억개에 달하는 블랙홀이 있는 것이 틀림없지만 관측된 것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면서 "어디를 관측해야 할지를 아는 것은 이를 찾아내는 것을 더 유리하게 만들 것"이라고 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