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재용 '무노조 경영' 사과에…노동계 "상식이 뉴스가 되는 현실 개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6일 서초동 사옥에서 경영권 승계와 노조 문제 등과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기 전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6일 '무노조 경영이라는 말이 않도록 하겠다'고 선언한 것에 대해 노동계가 "백 마디 말보다 하나의 실천이 필요하다"며 적절한 후속조치를 요구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이날 이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 발표 직후 논평을 통해 "(이 부회장이 대국민 사과에서 밝힌) 무노조 경영을 하지 않겠다, 법을 준수하겠다, 노사 화합과 상생을 도모하겠다, 건전한 노사 문화가 정착되도록 하겠다 등은 대한민국의 많은 노사가 지켜가고 있는 내용"이라며 "굳이 이 부회장의 사과를 평가 절하하고 싶지는 않다. 문제는 결국 실천"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노총은 "현재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를 비롯해 한국노총 산하 삼성그룹 내 노동조합들은 임·단협을 진행 중이거나 사측에 교섭을 요구하고 있지만, 삼성은 여전히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삼성은 즉각 성실 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노총은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울산공장, 삼성화재,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 삼성웰스토리 등 삼성그룹 내 6개 사업장에 산하 노조를 두고 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역시 이날 오후 입장문을 통해 "너무나 상식적이고 당연한 얘기가 삼성 재벌에게는 특별한 뉴스가 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날 이 부회장의 사과는 더 이상 무노조 경영을 위해 불법 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선언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했다. 민주노총은 300일 넘게 고공 농성 중인 삼성 해고 노동자 김용희 씨 등을 무노조 경영의 피해자로 거론하면서 "직접 사과와 복직, 보상이 돼야 하고 책임자에 대한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오늘 발표가 사과문으로 진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경영 승계 과정에서 발생한 불법, 탈법적인 행위에 대한 사죄와 원점으로 돌려놓겠다는 약속이 있어야 한다"며 "위법적으로 축적된 재산 전액을 사회에 환원하는 게 그 출발"이라고 말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도 이 부회장의 사과에 대해 "진정성과 제도 개선의 의지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번 사과는 자발적이 아니라 급조된 조직인 준법감시위의 권고에 의한 이벤트성 사과라는 설명이다. 경실련은 "결국 본인의 형량을 줄이기 위한 언급에 불과하다"며 "진정한 반성을 하겠다면 오히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를 해체하고, 재판에 공정하게 임해 사법적 책임을 지는 것부터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번 사과는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다. 준법감시위는 지난 3월 11일 삼성그룹 경영권 승계 의혹과 관련해 총수인 이 부회장이 반성·사과하라고 권고했으며 이 부회장이 직접 삼성의 ‘무노조 경영’ 포기를 표명하라고 주문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