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화항체 형성된 환자 절반이 ‘양성’…“바이러스 남아있는 기간 다를 수 있어”
정 본부장 “격리해제 후 재양성 위험이 절반 정도라는 해석은 무리”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감염된 뒤 중화항체가 형성된 환자 중 절반은 유전자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중화항체가 형성되더라도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는 기간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는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환자가 감염 후 회복돼 항체가 형성된 다음에도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석시험을 시행했다고 22일 밝혔다.

총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모두 감염 후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중화항체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중 12명은 호흡기 검체 코로나19 유전자 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됐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환자에 따라서는 중화항체가 형성돼도 바이러스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남아 있는 기간이 다를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방역 당국은 중화항체 형성 뒤 절반 정도가 양성으로 확인된 비율을 완치 후 재양성비율로 동일시하지는 않아야 한다고 했다.

정 본부장은 “이 환자들은 격리 해제가 되기 전 검사를 통해 양성을 확인했기에 격리 해제 후 재양성 위험이 그만큼 크다고 해석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한명국 방대본 검사분석팀장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항체가 형성되면 체내에 있던 바이러스가 소멸하는 것이 보통인데 코로나바이러스는 이런 점에서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며 “항체를 형성하는 데에는 중화항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내 조건이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