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진단키트 필요 없었다”…‘한국 사위’ 호건 비판한 트럼프
백악관 코로나19 TF 브리핑서 발언…“돈 아낄 수 있었다”
“언제 주문했는지 모르겠다”…펜스 부통령도 불편한 심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정례 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를 확보한 래리 호건 미 메릴랜드주지사를 공개 비판하고 나섰다.

20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브리핑에서 “호건 주지사는 한국에서 코로나19 진단키트를 확보할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다.

브렛 지로아 미국 보건복지부 차관보 역시 브리핑에서 “메릴랜드주지사가 한국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에겐 이미 매일 (코로나19 검사를) 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그가 3만~4만개의 검사를 연구실에 보내도 이를 소화할 수 있다. 당장 내일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도 호건 주지사에게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그는 “주지사가 대체 언제 한국에 이 같은 주문을 한 지는 잘 모르겠다”면서 “진단키트를 주문했다고 그와 관료들을 못마땅해 한다는 말은 아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만 메릴랜드 전역의 모든 다양한 실험실과 충분한 기기에 대해 우리는 말하고 싶다”고 했다.

펜스 부통령은 이날 브리핑에서 메릴랜드주의 실험시설과 검사능력을 보여주는 슬라이드를 보여주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펜스 부통령이 준비한 슬라이드를 가리키며 “이 지도를 좀 보라. 메릴랜드주지사는 펜스 부통령에게 전화할 수도 있었고, (이를 통해) 돈을 아낄 수도 있었다”면서 “한국으로 갈 필요가 없었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나는 그가 정보를 좀 얻는 편이 더 도움됐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18일(현지시간) 한국에서 구매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진단키트 물량의 도착을 맞으러 볼티모어-워싱턴 국제공항에 나간 래리 호건 미 메릴랜드주지사(오른쪽)와 유미 호건 부인. [연합]

한편 호건 주지사는 지난 18일 50만회 검사가 가능한 한국산 코로나19 진단키트를 확보했다. ‘오래가는 우정’이라는 이름을 붙인 진단키트 확보작전에는 한국계인 유미 호건 부인이 큰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