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근로자 10명중 1명 한 달에 100만원도 못번다
숙박·음식점업 임금근로자 65% 월급 200만원 미만
〈자료: 통계청〉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우리나라 임금근로자 10명 중 1명은 한 달에 100만원도 못 버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농림어업, 숙박·음식점업,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는100만원 미만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24∼31%에 달했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10월 기준) 임금근로자 274만7000명 가운데 월평균 임금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가 10.1%로 집계됐다.

100만∼200만원 미만은 23.1%, 200만∼300만원 미만은 31.9%, 300만∼400만원 미만은 17.0%, 400만원 이상은 17.9% 등의 비중을 보였다.

100만원 미만을 받는 임금근로자 비중을 산업 대분류별로 보면 농림어업(30.6%), 숙박·음식점업(27.8%),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3.7%),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20.0%) 등에서 높았다.

특히 100만~200만원 미만까지 포함하면 월 200만원을 못 버는 근로자가 농림어업은 67.5%, 숙박·음식점업은 64.5%에 각각 달했다.

월 400만원 이상 받는 고액 연봉자는 금융·보험업(39.6%)에서 가장 많았고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37.4%)과 정보통신업(35.8%)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직의 28.0%가 100만원 미만을 받고 있고 서비스종사자의 경우에도 이 비율이 25.2%로 적지 않았다.

한 달에 100만원도 채 받지 못하는 비중은 1년 전 10.2%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100만∼200만원 미만 근로자 비중은 27.1%에서 1년 새 23.1%로 4.0%포인트 하락했다.

반대로 200만∼300만원을 버는 비중(31.9%)은 2.2%포인트 올랐고 300만∼400만원 비중(17.0%)도 0.7%포인트, 400만원 이상(17.9%) 역시 1.1%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200만원 미만 임금근로자 비중은 줄고, 200만원 이상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는 2016년 상반기 이후 4년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전체 취업자는 2750만9000명, 이 가운데 비임금근로자는 676만2000명이었다. 임금근로자는 제조업(393만9000명)에서 가장 많았고, 비임금근로자는 농림·어업(142만1000명)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산업 중분류별로는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업 취업자(219만4000명)가 전체 취업자의 8.0%를 차지했다. 음식점·주점업에 214만8000명(7.9%), 교육서비스업에 187만5000명(6.8%)이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가 15만4000명 증가해 가장 크게 늘었고, 음식점·주점업 취업자도 10만6000명 증가했다.

연령별로 나눠서 보면 15∼29세 청년층은 음식점·주점업에 58만3000명이 종사하고 있고, 30∼49세는 교육서비스업(100만2000명), 50세 이상은 농업(129만7000명)에 많이 포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소분류별로는 음식점업 취업자가 172만3000명으로, 전체의 6.3%로 가장 많았다. 작물재배업(135만5000명·4.9%),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108만8000명·4.0%) 순이었다.

직업 소분류별로는 취업자의 8.6%(235만5000명)가 경영 관련 사무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매장판매 종사자도 7.1%(194만7000명)였다. 성별로 나누면 남자 취업자는 경영 관련 사무원, 여자 취업자는 매장판매 종사자(106만3000명)로 일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