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 연기, 사실상 추가 방학” 분석
학원 가는 대신 가정학습 늘어
“양질의 강의, 전국 학생 균등히 봤으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용산구의 한 가정에서 용산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한 신입생 어린이가 엄마와 함께 노트북 화면을 통해 온라인 입학식을 갖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개학이 두달 가량 연기되면서 학생들의 학습량이 줄어든 대신 잠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올 3월27일부터 4월3일까지 학부모 5만5380명, 학생 3만9244명 등 총 9만46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실시한 ‘초·중·고 원격학습 실태조사’ 결과, 이번 개학 연기는 학생들에게 추가 방학이나 다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는 학생들이 하루 24시간을 어떻게 배분해서 쓰는지를 ‘일반 학기중’과 ‘방학 기간중’, ‘코로나19로 인한 개학 연기 기간중’을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학생의 하루 일과를 ‘학습, 수면, 휴식, 계발’ 등 4가지로 크게 나눴다.
학생들은 일반 학기중에 평균적으로 학습 9.0시간, 수면 8.1시간, 휴식 3.2시간, 계발 1.9시간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코로나19 개학연기 기간에는 학습 4.4시간, 수면 9.1시간, 휴식 4.9시간, 계발 2.4시간으로 시간을 나눠 썼다.
학습 시간은 절반 이하로 줄어든 대신 수면 시간과 휴식·계발 시간이 1~2시간씩 늘어난 것이다.
특히 개학 연기 기간의 시간 배분은 ‘방학 기간중’의 시간 배분과 비슷했다. 학생들은 방학 때 학습 4.5시간, 수면 9.0시간, 휴식 4.6시간, 계발 2.5시간 등으로 시간을 배분했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여파로 학원에서 수업을 듣는 시간은 평소 보다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들은 학원에서 보내는 평균 시간이 ‘일반 학기중’에는 1.6시간, ‘방학 중’에는 1.8시간인데, 이번 개학 연기 기간에는 1.1시간이었다고 답했다. 상당수 학원들이 올 3월 말~4월 초까지 휴원을 한 영향으로 보인다.
학원 대신 가정에서 인터넷 강의 등을 디지털기기로 공부한 시간은 소폭 늘어났다.
학생들이 가정에서 디지털기기로 학습한 평균 시간은 ‘일반 학기중’에는 0.8시간, ‘방학 중’에는 1.2시간이었는데 ‘코로나19 개학 연기 기간’에는 평균 1.7시간이었다.
개학 연기 기간에 집에서 온라인으로 학습한 학생들은 주로 ‘e학습터’나 디지털교과서 등 교육 당국에서 제공하는 학습 자료(26.2%)나 EBS(24.9%)를 이용했다고 답했다. 민간 사교육 업체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강의나 유튜브·학습지 등으로 공부했다고 답한 비율(22.6%)도 비슷했다.
가정에서 학습지나 문제집 등으로 학습한 시간도 늘었다.
디지털기기 없는 가정 학습 시간은 개학 연기 기간에 평균 1.6시간으로, ‘일반 학기중’(1.0시간)이나 ‘방학 중’(1.5시간)보다 많았다.
한편, 이번 개학 연기 기간에 대해 학부모와 학생들은 “학습 자료는 많은데 무엇을 봐야 할지 모르겠다”, “교육부가 일괄적으로 양질의 강의를 제공해 같은 학년인 전국의 학생이 같은 시간표로 공부하면 좋겠다”는 등의 의견을 냈다.
yeonjoo7@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