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대 新산업 고급인력 부족 심화…다른 산업의 3.8배 높아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 선박, 항공드론, 지능형 로봇 등
2028년까자 4대 신산업 필요인력 16만8000명 추산
“석박사급 양성 확대 추진”

[헤럴드경제]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 선박, 항공드론, 지능형 로봇 등 4대 신산업 분야의 석·박사급 인력 부족률이 기존 주력산업의 고급인력 부족률보다 3.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8년 말 기준 4대 신산업에 참여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산업기술인력은 총 10만5000명, 부족 인력은 4755명으로 집계됐다. 평균 부족률은 4.3%로 12대 주력산업 평균 부족률 2.2%의 두배에 달했다.

특히 대학 학부와 석·박사급 부족률이 각각 4.9%와 9.1%로, 12대 주력산업 부족률 2.3%와 2.4%보다 4배 가까이 높았다.

2028년까지 4대 신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인력 수는 전년보다 6만3000명 늘어난 16만8000명으로 추산됐다.

올해 산업부는 4대 신산업에 공통으로 부족률이 가장 높게 조사된 석·박사급 인력 양성 지원을 확대하고 내년에는 바이오·헬스 분야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을 신규 추진할 예정이다.

수요-공급 간 인력 미스매치 해소와 산업계 인력 수요를 전달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재직자 대상으로 신기술 분야의 직무 전환이 유기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와 직업훈련체계 개편에 대해 계속 협의할 예정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