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중국 바이러스’ 표현에 WHO “인종차별적” 경고
[EPA]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표현하면서 중국 책임론을 연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질병과 관련해 특정 지역을 명시하는 것이 인종차별을 불러올 수 있다는 비판도 거세다.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브리핑에서 중국바이러스라는 표현이 인종차별주의 아니냐는 질문이 나오자 “그것이 중국에서 왔기 때문에 인종차별주의가 전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 정보가 코로나19 정보를 제때 제공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판 여론을 중국으로 돌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도 “코로나19는 중국에서 왔다”며 ‘중국 바이러스’라고 말했다. 그런가하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우한 바이러스’라고 말했다가 중국 외교부의 거센 반발을 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같은 표현이 인종차별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쓰지 말라고 경고했다.

실제 아시아계를 겨냥한 미국 내 증오 범죄는 현실화하고 있다. 최근 뉴욕에서는 홍콩 출신의 40대 남성이 “마스크는 어디있냐”는 말과 함께 욕설을 들었고, 한 소년은 아시아계 남성에게 침을 뱉고 발로 차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 12일에는 20대 한인 여성이 욕설과 함께 폭행을 당하기도 했다.

WHO는 질병명에 특정 국가나 지역, 동물, 사람 이름이나 집단을 붙이지 않는다.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대응팀장은 “바이러스는 국경을 모르고 민족이나 피부색 그리고 얼마나 당신이 돈을 많이 갖고 있는지도 신경 쓰지 않는다”라며 “바이러스가 특정인의 특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언어사용을 조심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고 말했다. 라이언 팀장은 바이러스를 특정 지역과 연관시키는 것은 혐오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지금은 함께 바이러스와 싸울 때”라고 강조했다.

빌 게이츠 MS 공동창업자 역시 이날 “중국 바이러스라고 불러서는 안된다”고 동조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