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경 봉쇄·숙박 거부…교민들 ‘발동동’
‘모든 외국인 제한’ 37개국으로
한인회가 임시 항공편 추진하기도
외교부 “페루 등 전세기 수요 조사”

코로나19를 이유로 국경을 아예 막는 국가가 늘어나며 현지에 머물고 있는 교민 피해가 점차 늘고 있다. 당장 유럽 각국이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대중교통을 줄여가고 있는 데다가 일부 국가는 격리 비용을 교민에게 전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외교부 등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는 자국 내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전날부터 15일간의 이동 제한 및 외부모임 전면 금지 조치를 시작했다. 대중교통 운행이 감축됐고, 택시 및 호텔이 징발되면서 현지에 체류 중인 한국인 중 일부는 숙박업체로부터 퇴거 통보까지 받았다.

특히 한국행 항공편이 잠정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사관에는 전세기 투입 여부 등 교민들의 문의 전화가 몰렸다. 대사관 측은 “일부 쉥겐 국가에 대해서는 이동 통제가 이뤄지고 있지만, 당장 한국행 항공편은 충분히 운항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파리 출발 서울행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기 때문에 전세기 투입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사정은 다른 유럽 국가도 마찬가지다. 코로나19 사망자가 급증한 이탈리아는 현지 한인회 주관으로 귀국 항공편 수요를 조사 중이다. 한인회 관계자는 “지역 내 이동뿐만 아니라 귀국길이 막히며 이동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아 지난 15일부터 항공사와 임시 항공편 투입을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유럽과 중ㆍ남미를 중심으로 모든 외국인의 입출국을 통제하는 국가는 전날까지 37개국으로 증가했다. 특히 직항 항공편이 막혀 150여 명의 교민이 사실상 고립된 페루의 경우에는 대사관이 아직 한국과의 항공편이 남아 있는 멕시코로 운행하는 전세기 수요 조사를 시작한 상황이다.

특히 유럽의 경우, 이탈리아와 같이 정부가 주도하지 않는 임시 항공편 투입이 더 이뤄질 수 있어 외교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현지에서 격리된 우리 교민의 수가 늘어나며 격리 비용을 둘러싼 잡음도 계속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베이징(北京)시와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에 이어 텐진(天津)시가 격리 비용을 외국인에게 부담하겠다고 발표했다. 유오상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