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WHO ‘팬데믹 선언’…향후 파장은?
억제→완화로 노력 전환…휴교·행사 취소 확대
인구 이동 제한…경제활동 둔화·생산성 저하
“바이러스 예측 불가능한 만큼 경제적 여파도 예측 불가”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은 향후 코로나19가 가져올 사회, 경제적 파장의 크기를 더욱 가늠키 어렵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가뜩이나 얼어붙은 세계 경제의 본격적인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독의 대표적인 무역항국인 함부르크항의 모습. [로이터]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선언하면서 지구촌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 WHO는 코로나19가 여전히 통제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지만, 이번 선언은 향후 코로나19가 가져올 사회, 경제적 파장의 크기를 더욱 가늠키 어렵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가뜩이나 얼어붙은 세계 경제의 본격적인 침체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최근 미 연방준비위원회(Fed, 이하 연준)이 내놓은 0.5%포인트 규모의 긴급 금리 인하와 함께 각국 중앙은행의 부양책 발표가 잇따를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이동 제한 및 사회적 거리두기 등 경제활동 둔화로 인한 여파를 최소화하려는 정부적 차원의 ‘구제책’도 대거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11일(현지시간) 발표된 WHO의 ‘팬데믹’ 선언은 보건 전문가들이 바이러스를 억제하려는 노력을 이제 ‘완화’로 전환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는 신호다. 증상자들을 격리하고 접촉자 추적을 통해 전염 확산을 막는 억제책(containment)이 아닌 상시적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을 가정하고 휴교와 대규모 행사 연기·취소하는데 집중하는 ‘완화(mitigation)’가 현 상황에서는 더 효과적이라는 의미다.

WHO의 팬데믹 선언은 가뜩이나 ‘위기’에 놓인 세계경제를 더 깊은 불황의 터널로 이끌 공산이 크다. 팬더믹 선언은 이미 인구 이동 제한에 나서고 있는 각국 정부들이 현 방침을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인구 이동 제한은 곧 경제활동 마비와 생산성 둔화로 직결된다.

실제 최근 코로나19의 전염세가 확산일로로 치닫고 있는 유럽은 하루가 멀다하고 강력한 인구 이동 제한 조치와 행사 취소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탈리아의 경우 전염 확산의 중심인 북부 롬바르디아 지역에 마트와 병원 등을 제외한 모든 업소를 전면 폐쇄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사실상 이 지역의 경제활동을 무력화시켰다. 같은날 스페인은 1000명 이상 모이는 행사 금지, 휴교령, 하원 의사당 1주일 폐쇄 등의 대책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예측 불가능한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세계 경제 전반의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유럽에서는 코로나19의 충격이 2012년 유럽 대륙을 강타한 ‘유로존 위기’와 맞먹는 수준일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크리스 르푸키 MUFC 유니온은행 이코노미스트는 “팬데믹 선언은 여행이 중단되고, 비즈니스 회의가 취소되는 등 향후 경제를 마비시킬 수 잇다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계적 생산량 저하와 소비 침체에 대한 우려는 당장 ‘시장 폭락’으로 가시화 하고 있다. 이날 ‘바이러스 공포’가 최고조로 달한 뉴욕 증시는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약세장(bear market)에 진입했다. 코로나19가 가져올 경제적 악영향이 얼마나 클 지, 여파가 언제까지 이어질 지도 아직 불분명하다.

IMD 경영대의 하워드 유 교수는 “시장이 계속 폭락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그들(시장이) 언제 바닥을 칠지 예측할 수 없다”면서 “왜냐하면 우리는 이 앞으로도 바이러스가 얼마나 오랫동안 퍼질 지 모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이 기정사실화 하면서 이를 완화하기 위한 각국 정부의 통화·재정 정책 발표도 이어질 전망이다. 경기 부양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방어하겠다는 계획이다.

영국 중앙은행은 같은날 0.5%포인트 규모의 금리 인하 전격 단행했고, 재무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300억파운드(약 46조원) 규모를 투입하는 등의 정책 패키지를 내놨다. ‘재정 위기’에 봉착한 이탈리아 역시 추가 예산 확보에 나섰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당초 계획한 10조원 규모의 긴급 예산을 3배 이상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헝가리는 추가 예산 편성 계획을, 덴마크는 기업 세금 연기 등의 산업계 지원책을 내놨다. 12일 예정된 유럽중앙은행(ECB)에서도 추가 금리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