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WHO, 팬데믹 선포…지구촌 이동 멈춘다
코로나19 110여개국 12만명 피해…세번째 팬데믹
각국에 공격적 대응 촉구…한국 조처 모범 사례로 꼽기도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했다. 사진은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이 11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의 WHO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를 팬데믹으로 선언하고 무거운 표정으로 기자들의 질문을 듣고 있다. [EPA]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세계보건기구(WHO)는 1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했다. 지난 1968년 홍콩독감과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돼지독감) 이후 세번째 팬데믹 선포다.

코로나19가 6개 대륙으로 확산되면서 일찌감치 팬데믹이라는 용어가 통용됐지만 WHO가 뒤늦게 공식화 하자, 공포감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여행재고, 입국제한, 지역이동자제 등 각국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공격적 대응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면서 지구촌 이동이 한동안 제한될 전망이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지난 2주간 중국 이외 지역의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13배 늘었고 영향 받은 국가의 수도 3배가 됐다. 114개국에서 11만8000건 넘는 사례가 나왔고 4291명이 목숨을 잃었다”며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고 선포 배경을 설명했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공격적인 조처가 코로나19의 확산을 막는 데 여전히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며 각국에 더 많은 노력을 쏟을 것을 주문했다. 한국 등의 조처를 모범사례로 꼽은 그는 “각국이 탐지, 진단, 치료, 격리, 추적 등을 적극적으로 한다면 소수의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집단 감염과 지역 감염으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면서 “지역 감염이 벌어지는 나라에서조차 코로나19의 흐름을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다.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모든 국가는 보건, 경제·사회 혼란 최소화, 인권 존중 가운데서 균형을 잡아야 한다”며 “WHO의 권한은 공중 보건에 관한 것이지만 우리는 사회 경제적 결과를 완화하기 위해 모든 부문의 많은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단순히 공중보건의 위기가 아니라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위기”라며 “모든 나라에 긴급 대응책을 활성화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각국들의 인적 교류 중단 ‘초강수’가 이어지고 있다. 쿠웨이트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쿠웨이트를 오가는 모든 여객 항공편을 13일부터 중단키로 했으며 엘살바도르 정부도 이날부터 앞으로 21일간 엘살바도르 거주자나 외교관이 아닌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막는다고 밝혔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