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내고장 일꾼 의정활동]강원모 인천시의원, 연세대 송도 세브란스병원 개원 늑장 꼼수에 ‘질타’
“만일 협약서 내용 그대로 지켜지지 않을 때 일어날 모든 책임은 연세대에 있다”고 경고
인천시의회 강원모 시의원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강원모 인천시의회 의원이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내 추진중인 연세대 송도 세브란스병원 설립과 관련해 강도 높은 질타를 벌여 주목을 끌었다.

강 시의원은 10일 오전 열린 제260회 인천시의회 임시회 1차 본회의 자유발언을 통해 “인천시와 연세대가 지난 2018년 체결한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2단계 조성사업 협약’에는 송도 세브란스병원의 준공 기한이 2024년까지로 돼 있다”며 “그러나 연수구와의 협약에는 2026년으로 돼 있어 2년 더 연장된 늦장 건립을 마치 큰 결심이라도 한 것처럼 행세하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세브란스병원은 인천의 양치기 소년이다. 연세대는 지난 2010년 송도 세브란스병원 건립을 발표하고도 용인 세브란스병원으로 방향을 틀었다”면서 “이중적인 태도로 땅만 받고 인천시민을 농락한 꼴”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연세대 국제캠퍼스의 발전과 송도 세브란스병원의 건립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했고 국제캠퍼스 확장의 걸림돌인 학부생 증원 5000명을 석·박사급 연구인력 1000명으로 조정하는데 앞장섰다. 또 송도 11공구에 건립하기로 한 사이언스파크의 송도 7공구 위치 조정에도 흔쾌히 응답했다.

시의회 이같은 노력과 협조를 헛되게 하지 말고 송도 국제캠퍼스 건설추진단장과 교육원장을 지낸 서승환 신임 연세대 총장은 협약서대로 약속을 지켜 달라고 강 시의원은 주장했다. 만약, 병원 건립 시한을 2024년으로 돌려놓지 않는다면 학생 증원 문제에 대한 시의회의 협조는 재고될 수 밖에 없고 2단계 수익부지 제공에도 물론 비판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강 시의원은 이어 “병원 건립을 왜 인천시가 아닌 연수구와 협약하는지 의문”이라며 “놀랍게도 협약서 어디에도 병원에 대한 언급이 없다. 준공 약속을 있을 뿐, 정작에 협약서에는 병원 건립에 관한 내용은 단 한 줄도 없다”고 밝혔다.

이런 점에서 연수구에도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작년 말 연수구가 송도 세브란스병원 부지에 대해 재산세 부과를 검토한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재산세 부과 소식은 슬그머니 사라지고 지역발전에 서로 협력하자는 극히 의례적인 협약을 마치 세브란스병원 건립 약속인양, 둔갑시켜 송도 세브란스병원 건립이 2년이나 늦춰지는데 판을 깔아준 꼴이 됐다고 강 시의원은 주장했다.

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위원들은 연세대학교 책임자들과 병원 건립에 관한 간담회를 여러번 가졌는데 그럴 때마다 연세대 측은 병원 건립이 이제 자기 필요와 발전을 위해 누가 하지 말래도 스스로 할 수 밖에 없다고 시의원들을 안심시켰는데 이제 와서 보니 ‘립 서비스’였다며 깊은 배신감을 느낀다고 강조했다.

강 시의원은 “이제 그만 인천시민을 상대로 한 희망고문을 멈추고 2024년까지의 준공 로드맵과 투자계획을 제출하기 바란다”며 “만일 협약서 내용 그대로 지켜지지 않을 때 일어날 모든 책임은 연세대에 있다”고 말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