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충남대 서상희 교수팀 '코로나19 백신 항원' 생산 성공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바이러스 백신 분야 전문가인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서상희 교수 연구팀이 세포 배양기술을 이용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항원을 생산하는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10일 충남대에 따르면 서 교수 연구팀은 정부로부터 허가받은 생물 안전 3등급 시설(BSL-3) 내에서 배양한 원숭이 유래 신장 세포인 베로(Vero)에 코로나19를 감염시켜 바이러스를 증폭하고 바이러스 단백질을 정제 후 포르말린으로 불활화해 백신 항원을 생산했다.

연구팀은 생산된 백신 항원의 면역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험쥐에 접종해 코로나19의 감염을 막을 수 있는 항체(중화항체)가 잘 유도하는지, 독성은 없는지를 검증할 예정이다.

이 검증은 약 4~6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코로나19가 감염되는 마우스(hACE2-TG 마우스: 사람 코로나19 수용체 형질전환 마우스)가 곧 확보되는 대로 방어실험도 수행할 계획이다.

현재 사람에게 상용화되는 대부분의 바이러스 백신은 바이러스 백신 주를 세포 등을 이용해 대량생산 후 포르말린 등을 처리해 불활화한 사독백신(독감백신, A형 감염백신, 소아마비 백신, 광견병백신)이거나,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떨어뜨린 약독화된 생독 백신(홍역백신, 유행성이하선염 백신, 풍진백신, 천연두백신, 수두백신, 황열백신, 독감백신)이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관건은 우선 백신 공장에서 백신 항원을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병원성을 약화한 백신 주를 개발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는 건강한 사람에 코로 스프레이 방식으로 뿌리는 백신 주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코로나19는 병원성이 높아 BSL-3 시설 내에서만 백신 항원 생산이 가능하다.

서 교수 연구팀은 우선 코로나19 대유행에 대비해 일반 백신 공장에서 사독 백신 생산이 가능하도록 병원성을 약화한 코로나19 백신 주를 최대한 빨리 개발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한편, 바이오마커 기반 암 조기진단 전문기업 지노믹트리는 지난달 25일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업그레이드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충남대학교 서상희 교수팀과 연구 협약을 체결한바있다. 협약을 통해 지노믹트리는 현재 사용중인 코로나19 분자 진단키트 민감도를 한층 높인 분자진단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 교수 팀은 고위험 병원체를 취급할 수 있도록 정부 허가받은 생물안전3등급 시설(BSL-3)에서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세포를 조건 별로 마련하게 된다.

안성환 지노믹트리 대표는 "지노믹트리는 오랫동안 분자진단기술을 연구 개발해온 기술력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전문가와 신속하고, 정확하게 코로나19를 진단할 수 있는 제품과 치료제 연구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지노믹트리는 대장암 조기 진단을 위한 분자진단 기술인 '얼리텍 대장암검사'로 암 등 질병 진단을 하고 있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