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 확진자 “거짓말·준법의식에 울고 웃는 병원들”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코로나19의 확진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병원에 환자들이 몰려들면서 ‘성숙한 시민의식’이 지역감염과 병원감염 확산의 가장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병원이 아무리 방역을 철저히 하고 의료진들이 온몸을 바쳐 헌신을 해도 확진자의 ‘거짓말 한마디’에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하루 이용자만 만명을 넘나드는 대형병원들의 경우 하루만 기능이 정지되도 기존 환자는 물론 이용 환자들에게 엄청난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서울지역의 대형 대학병원에서도 이런 확진자의 시민의식에 따라 희비가 교차했다.

대구 거주 사실을 숨긴 채 입원했다가 코로나19에 확진된 환자 때문에 병원폐쇄 조치를 당한 서울백병원은 병원은 물론 지역 상권까지 초토화됐는가하면 확진자가 방문했는데도 확진자의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밀접 접촉자가 '0명'으로 조사된 신촌세브란스병원은 정상 진료를 하고 있다. 환자가 어떻게 행동했느냐에 따라 병원은 물론 지역상권까지 운명이 갈린셈이다.

신촌세브란스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보호자는 이달 5일 코로나19로 확진됐지만, 이 병원은 별도의 폐쇄 조치 없이 정상 진료를 지속하고 있다. 확진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이 단 한명도 없어 감염의 위험이 없다고 방역당국에서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환자는 지난달 29일 자녀의 진료를 위해 세브란스병원 어린이병원에 방문했다. 증상 발현 하루 전이었다. 그는 병원 주차장에 댄 차에서 내릴 때부터 마스크를 착용하고 발열 체크에도 협조했다. 병원에 머무는 동안 곳곳에 설치된 알코올 세정제를 이용해 최소 3번 이상 손을 소독했다. 확진 환자와 동행한 자녀도 마스크를 썼다. 진료실에 보호자 자격으로 함께 들어갔을 때도 마스크를 벗지 않았다. 확진 환자와 대화를 나눈 의료진과 원무팀 직원 등도 전원 마스크를 착용했다. 질병관리본부 지침에 따라 코로나19 확진자와 2m 이내에서 보호장구 없이 접촉한 사람을 감염 위험이 있는 접촉자로 분류하는데, 해당하는 사람이 없었다.

대구 거주 사실을 숨긴 채 입원했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확진된 환자로 인해 출입통제된 서울 중구 백병원 앞에서 9일 면회객과 환자 등이 병원 관계자의 도움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접촉자를 분류할 때에는 쌍방의 보호장구 착용 여부 등이 고려되는데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이 없었던 것으로 결론 났다”며 “역학조사에서 ‘원내 접촉자 없음’으로 판정돼 지속해서 진료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백병원은 대구 거주 사실을 숨긴 채 진료를 받고 입원한 환자로 인해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환자는 지난 3일부터 코로나19로 확진된 8일까지 입원해 있었다. 이에 따라 외래 및 응급실, 병동 일부가 폐쇄돼 입원 환자는 물론 진료를 예약했던 외래 환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대형병원의 한 관계자는 “환자가 작정하고 고위험지역 방문 등 이력을 숨긴다면 병원으로서는 어쩔 도리가 없다”며 “진료 시 의료진에 정확한 사실을 얘기하고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등의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병원뿐아니라 경증 환자가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에서도 시민의식이 결여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대구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인 신천지 대구교회 60대 여성 교인 A씨가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거부하고 난동을 부린 뒤 도주하다 붙잡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8일 오후 8시 20분께 경북대 생활치료센터로 이송 중이던 A씨가 센터 앞에서 난동을 부렸고 방역 당국은 A씨가 난동을 부리자 당초 격리 입원 중이던 대구의료원으로 다시 데려왔지만 병실 이동 과정에서 방호복을 입은 간호사 머리 등을 잡아당긴 뒤 도망갔고 방호복을 착용한 경찰 등은 오후 9시 20분께 의료원 인근에서 A씨를 붙잡았으며 이곳 병실에 재입원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자가격리자들의 일탈도 만만찮다. 대구에선 확진 통보를 받은 자가격리자가 마스크를 구입하려고 시내를 여러 시간 돌아다녔고, 자가격리 중에 강릉으로 여행갔다가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도 있다. 국립발레단 일부 단원은 자가격리 중 외부로 돌아다녀 물의를 빚었다. 질본 관계자는 “자기격리 대상이 아직도 수 만명인 상황에서 성숙한 시민의식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밝혔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