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태화강 황어, 산란 위해 ‘회귀’…작년보다 일주일 빨라
3월 3일부터 울산 태화강 점촌교에서 관찰
울산시, 3월 13일~31일 ‘회귀 황어 관찰장’ 운영
태화강에 황어가 알을 낳기 위해 돌아오고 있다. 회귀성 어종인 황어는 대부분의 일생을 바다에서 보내고 알을 낳기 위해 강으로 돌아온다. 울산에서는 선바위교 인근이 산란의 최적지로 꼽힌다. 사진은 지난해 황어 회귀 모습.

[헤럴드경제(울산)=이경길 기자] 태화강 황어가 돌아오고 있다. 지난해 첫 관찰된 3월11일보다는 1주일 가량 빠르 셈이다.

울산시는 지난 3월 3일부터 돌아오는 황어 수십 마리를 태화강 점촌교와 선바위교 부근에서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울산시는 이 시기에 맞춰 황어 관찰 수조를 통해 시민·학생들이 황어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도록 ‘태화강 황어 회귀 관찰장’을 선바위교 인근에 설치(13일~31일)해 운영한다.

또한 울산시 보호종으로 지정된 황어 보호 기간(15일~4월 14일)을 맞아 황어가 산란을 마칠 때까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불법 포획과 어로행위에 대한 단속과 계도 활동도 병행할 예정이다.

잉어과에 속하는 황어는 회귀본능을 가진 물고기다. 연어처럼 하천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일생을 살다가 알을 낳기 위해 3월부터 4월에 하천으로 올라온다.

암컷 한 마리에 수컷 여러 마리가 산란을 위해 붙어 다니기 때문에 수심이 얕은 선바위 인근에서 모래와 자갈에 산란하는 황어떼를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다.

태화강에서 매년 3월 중순경부터 황어떼가 관찰되고 있으며, 황어 영상은 울산광역시 누리집(환경→태화강)에 게재할 예정이다.

hmd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