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학교 가야 밥을 먹는데”…코로나19로 개학 밀려 배고픈 아이들
개학 연기로 지자체 급식지원 35만명 ‘결식 우려’
교육부 “급식지원 등 지자체와 협의 마쳐”
NGO 단체들까지 ‘긴급 돌봄’ 조치 나서

지난달 27일 세종시 관내 학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전문 업체 직원들이 소독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 유치원, 초·중·고교 등의 개학을 1주일 연기했다. [세종시교육청 제공]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다문화 모자 가정의 A(11) 양과 B(8) 군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개학이 밀리면서 당장 ‘끼니’ 걱정이 늘었다. 남매는 개학 기간 어머니가 시장으로 출근해 오후 8시에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주로 학교에서 점심을, 지역아동센터에서 저녁을 해결하고는 했다. 한부모 가정의 C(12) 군도 방학 동안 집에서 혼자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기간이 일주일 늘어나면서 고민이 깊어졌다.

2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모든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교, 각종 학교는 이날보다 일주일 후인 오는 9일에 개학한다. 지난달 23일 교육부가 발표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선제적 예방을 위한 개학 연기 조치에 따른 것이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감염병예방법) 제 50조 제2항에 따르면 교육부 장관은 감염증이 확산되는 경우 학교 등에 휴업을 명령할 수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지난 29일 지역 내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오는 23일로 개학을 애초(9일)보다 2주 더 연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개학 연기로 인해 결식 아동에 대한 ‘돌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결식 아동이 학교에서 급식을 먹을 수 없는 방학에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점심 식사를 지원한다. 2018년 기준 지자체로부터 급식 지원을 받는 만 18세 미만(고등학교 재학 중일 경우 18세 이상도 포함) 아동·청소년은 35만7000여 명이다.

교사노동조합연맹 관계자는 “학교를 가야 밥을 먹을 수 있는, 한 끼가 절실한 아이들에게 갑자기 닥친 개학 연기는 큰 걱정일 수 있다”며 “개학 연기로 인해 지원을 받아야 하는 학생들이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 문제가 생긴 것이다. 자라나는 학생들이 제대로 식사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사노조는 지난달 27일, 코로나19로 인한 개학 연기로 식사 해결이 곤란해진 전국 학생 35만여 명을 위해 모금 운동에 들어갔다.

이에 교육부, 지자체, 비정부기구(NGO)들은 저마다 ‘돌봄 공백’을 막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교육부는 해당 지자체와 협의해 개학 연기로 결식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질 없이 급식을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기본적으로 학기 중 저소득층 급식은 학교에서, 방학 중에는 지자체에서 하는 것”이라며 “개학이 연장되고 늦어지면 그만큼 (다음)방학도 늦게 시작하므로 지자체 부담액이 달라지지 않는다. 17개 시·도 지자체와 다 협의를 마치고 지자체에서 아이들의 급식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NGO들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도 코로나19 피해 지역 위기 가정 1500가구에 긴급 생계 지원을 하는 한편 동시에 산하 지역아동센터를 통해 비대면 유선 모니터링, 센터 내 점심·저녁 식사 제공 등 긴급 돌봄에 나섰다. 굿네이버스도 혼자 지내는 아동들을 위한 안전 모니터링과, 식사·부식 배달 등을 지원하고 있다.

po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