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시, 시민체감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 마련…1814억 투입
4개 분야 51개 사업 추진
대기오염 감축·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인천광역시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인천광역시는 1814억원을 투입하는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20년도 미세먼지 저감 목표를 설정(PM2.5 20㎍/㎥, PM10 39㎍/㎥)하고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절관리제(12월~3월)’ 시행,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배출사업장 관리 등 4개 51개 분야 사업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인천시에 따르면 배출사업장 분야 사업은 인천지역 4개 국가 공사로 구성된 인천클린공사협의회와 1단계 환경개선 자율협약(2016~2019년)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1543t 감축(1단계 : NOx 1451t, SOx 92t) 성과가 있었고 올해에는 항공기, 선박, 항만내 장비의 배출가스 저감사업을 중심으로 2단계('20년~'24년) 사업을 추진해 환경개선을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소규모사업장 방지시설 지원사업은 전년보다 예산을 2배 이상 확보(2019년 142억원→ 2020년 304억원)해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이 있는 중소기업 배출업소에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또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설치 지원사업도 전년 대비 5배 이상으로 사업규모를 확대(2019년 3006대→2020년 1만5500대), 추진하는 등 지역특성을 고려한 배출사업장 관리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민체감 미세먼지 개선 분야에서는 미세먼지 집중관리도로(19개소, 63.5km) 운영 및 쉼터 확대(57→100개소)와 미세먼지 배출원에 대한 불법배출 감시단 운영 등을 통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강도를 낮추는 등 계절관리제를 철저히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미세먼지 다량발생지역 중 사회복지시설, 어린이·노인 등 취약계층이 밀집한 지역에 대해서는 3월중 미세먼지 집중관리지역(안심지역) 2개소를 선정하고 미세먼지 저감 및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해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한다.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은 사업대상을 전년보다 1만560대 늘어난 5만4230여대에 대해 저공해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조기폐차 지원 사업(2만7169대→3만5000대)과 노후 건설기계 엔진교체(773대→1000대) 및 저감장치 부착(38대→400대)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이밖에 지난 2019년에 구축 완료된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제한 시스템(22개 지점 감시카메라 44대)을 활용해 올해부터는 운행제한 단속을 본격적으로 시행해 실질적인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강력히 추진할 예정이다.

시민 생활환경과 밀접한 악취분야에서는 사업비 13억원을 투입, 도심지역(8개 구)에 대한 악취 실태조사 용역을 실시하고 시료채취장비 추가 구입 및 직화구이 음식점에 대한 악취 저감시설 지원 사업 등을 통해 과학적이고 실효성 있는 악취 저감대책을 마련, 악취 발생이 감소하도록 할 계획이다.

조현오 인천시 대기보전과장은 “올해에는 계절관리제 시행 등 대기질 개선을 위한 종합계획 추진으로 미세먼지 및 악취 저감은 물론 전반적인 대기오염물질의 감축 효과를 시민들께서 느낄 수 있도록 체감 환경을 개선하고 쾌적한 대기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