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 충격, 2008년 금융위기 규모 될 수도”
英 런던 컨설팅社 “무역과 시장, 통화에 심각한 격변”
美 글로벌 기업들, ‘코로나19’ 여파 실적 악화 전망
관광 의존도 높은 유럽 산업계도 경제적 타격 가시화
코로나19가 중국을 넘어 아시아, 유럽, 중동 등 사실상 전 대륙을 덮치면서 세계 경제에 미칠 ‘바이러스 충격’이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사태 수준이 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에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닥스(DAX)30 지수 [AP]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지구촌 전대륙을 덮치면서 세계 경제를 강타한 ‘바이러스 충격’도 가시화 하고 있다. 이미 세계 증시가 연일 폭락하고 제조, 서비스를 막론한 다국적 기업들의 실적 악화 전망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이 2008년 금융위기 사태 수준의 세계 경제 ‘불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시장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이 사실상 통제불능 상태로 진입했다는 분석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즉,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악영향이 얼마나 심각할지 조차도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0.5%를 집어삼켰던 2008년 금융위기 수준과 맞먹는 경제적 충격을 야기시킬 것이란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온다.

런던 소재 리서치 컨설팅회사인 캐피털이코노믹스는 27일(현지시간) “2008년 심각한 대유행의 경제적 영향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만큼 심각할 수 있다”면서 “금융위기와 동등한 수준으로 세계 무역과 시장, 통화에 심각한 격변을 일으킬 것”이라고 밝혔다.

제니퍼 맥권 캐피털이코노믹스 대표는 “이제는 코로나19가 얼마나 나쁜 영향을 미칠지 조차도 예측하기 힘들다”면서 “다만 2008년 금융위기 상황에 도달하는 것은 결코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위기는 산업계를 중심으로 가시화 하고 있다. 이미 전세계 기업들의 성장 곡선은 공급망 붕괴와 수요 악화의 영향으로 꺾인 상황이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IT 대기업을 비롯해 페이팔, 스탠다드차타드 등 글로벌 금융사, 그리고 맥도날드와 스타벅스 등 다국적 식음료 체인브랜드 등은 코로나19로 인해 수익이 감소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심지어 관광과 항공, 자동차 등의 업계는 이같은 ‘발병 비용’을 추산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골드만삭스는 “코로나19가 2020년 미국 기업의 수익 성장을 모두 앗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일파만파 퍼지고 있는 유럽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특히나 국가 수입의 상당수를 관광에 의존하고 있는 유럽은 잇따른 국제 행사 취소와 관광객 급감으로 인한 여파가 숙박 및 소매, 항공과 철도 등 연관사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실제 이달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가 전격 취소됐고, 이탈리아 최대 축제인 ‘베네치아 카니발’도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중단됐다.

더불어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만 17만4000명 가량의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자동차제조사 다임러가 “생산과 부품 조달 시장, 공급 사슬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코로나19로 인한 손실을 언급하고 나서는 등 유럽 산업계의 ‘바이러스 충격’도 점차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토니 로스 윌밍턴트러스트 최고투자책임자는 투자자들에게 보내는 메모에서 “세계 무역과 국경 간 여행, 글로벌 공급망의 혼란이 지속될 가능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면서 “베네치아 카니발을 포함한 유럽 내 대규모 행사들의 잇따른 취소는 모든 산업군에 속한 기업들에 대한 경제적 타격을 예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애덤 포젠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소장은 “유럽에서 상황이 상당히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