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UNIST 연구진, 극미량 분자 검출해내는 ‘초고감도 센서’ 개발
UNIST 박혜성 교수팀, 이차원 소재 기반의 라만(Raman) 분광 센서 개발
원자층 수준의 두께로 얇고 초민감도·고안정성 갖춰… Nano Letters 게재

[박혜성교수 연구팀] 구동환 연구원, 이정현 연구원, 서지형 연구원(제1저자).

[헤럴드경제(울산)=이경길 기자] ‘분자지문’이라 불리는 물질 고유의 신호를 증폭해, 극미량 분자도 검출해내는 ‘초고감도 센서’가 UNIST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이용훈)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박혜성 교수팀이 ‘산화 레늄 다이설파이드(ReOxSy)’ 박막을 합성해 이차원 소재 기반의 ‘초고감도 표면 증강 라만 분광(SERS) 센서’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새로 합성한 박막이 물질 고유의 ‘라만 산란 신호’를 증폭해 미량의 분자도 검출하는 원리다.

물질 내부의 분자는 외부에서 들어온 빛(레이저)에 반응해 새로운 광학 신호, ‘라만 신호(Raman spectrum)’을 만든다. 라만 신호는 물질마다 다르므로 이를 분석하면 특정 물질을 검출하거나 특성을 알아낼 수 있다.

박혜성 교수팀은 안정성이 높은 CM 방식을 개선해 민감도도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CM 방식으로 라만 신호를 증폭할 경우 센서와 검출 물질 간 전기적 상호작용이 활발해야 하는데, 이때 센서 물질의 에너지 밴드 레벨(energy band level)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센서를 이루는 산화 레늄 박막을 합성할 때 산소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해, 전하이동이 원활해지는 최적화된 에너지 밴드 레벨을 맞췄다. 그 결과 라만 신호가 증폭돼 ‘민감도와 안정성을 모두 갖춘 원자층 수준의 얇은 SERS 센서’가 개발됐다.

제1저자인 서지형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센서를 이루는 박막 표면에 형성되는 전기쌍극자와 검출할 물질의 전기쌍극자가 서로 반응해 라만 신호를 더욱 증폭한다”며 “안정성은 높지만 민감도는 낮은 기존 CM 방식을 개선해 저농도의 물질도 검출해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산화 레늄 박막을 그래핀(graphene)위에 합성하자 두 소재 간에 상호작용(van der Waals interaction)으로 라만 신호 증폭이 극대화돼, 펨토 몰 농도(10-15 M)까지 검출 분자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는 2차원 물질로 이루어진 CM 기반 SERS 기법 중 가장 우수한 기록이다. 또 이런 이종(二種)구조는 뛰어난 유연성과 균일성도 갖췄다.

박혜성 교수는 “이번 연구로 새로운 조합의 이차원 이종구조 소재 합성법을 제시했다”며 “향후 이차원 소재 기반 초고감도 SERS 센서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2월 3일자로 온라인 선공개됐다. 연구 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및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통해 이뤄졌다.

hmd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