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성장률 1분기 3.5%·올해 5.6%까지 하락”
모건스탠리, 중국에 대해 비관적 전망
코로나19 여파 따른 세가지 시나리오 제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분기에는 3.5%, 올해 전년 5.6%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인 CNBC에 따르면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사태가 중국 경제에 미칠 3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모건스탠리는 ‘최악의 시나리오’인 코로나19 사태가 4월에 절정에 이르고, 중국 내 공장 가동중단 사태가 3월까지 이어진다고 가정하면서 1분기 GDP 성장률은 3.5%, 전년 성장률은 5.6%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코로나19 사태가 2~3월 정점을 찍고, 발병지 우한이 있는 후베이성 이외의 지역에서 공장 가동이 점진적으로 정상화 하면 중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은 4.2%, 전년 성장률은 5.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모건스탠리는 이와 함께 코로나19가 2월과 3월에 정점을 찍고, 후베이성 이외의 지역에서 공장 가동이 신속히 이뤄질 경우에는 중국의 GDP 성장률이 1분기에는 5.3%, 올해 5.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중국 경제는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으면서 올해 ‘성장률 6% 달성’에 비상이 걸렸다. 중국의 GDP 성장률은 지난해 6.1%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분기별로는 1분기 6.4%, 2분기 6.2%, 3~4분기 6.0%를 각각 기록했다.

모건스탠리는 “점진적인 속도로 회복하는 생산활동을 감안할 때 현재 상황은 ‘점진적인 정상화’ 시나리오에 더 부합할 것”이라면서도 “코로나19 확산 속도를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가동 중단이 더 연장될 시나리오로 넘어갈 위험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세환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