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라임펀드 ‘판매중단 후 설정’ 책임 공방…금감원 판단은
“판매사들 부실 가능성 인지하고 판매” 비판 확산
우리, 후속 자펀드 출시만 중단해 논란
“기존펀드도 모집 중단했어야” 지적
금감원, 내달 현장검사 예정
검찰 관계자들이 지난 19일 서울 여의도 IFC에 위치한 라임자산운용을 압수수색하고 압수물을 차로 옮기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나래·강승연 기자] 은행, 증권사가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부실 가능성을 알고도 판매했다는 의혹이 확산하고 있다. 일부 판매사는 부실 우려로 신규 자펀드 출시를 중단하면서도 판매 중이던 자펀드는 설정을 강행해 투자자 손실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어 향후 금융감독원과 검찰의 판단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라임펀드 판매사들은 지난해 7월 라임 관련 의혹들이 시장에 확산하기 전에 펀드 부실 가능성을 인지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대신증권은 2017년 라임 펀드 레버리지 리스크를 파악했으나, 반포WM센터에서만 1조원 넘게 팔아 불완전판매 논란에 휩싸였다. 신한금융투자는 2018년에 라임 무역금융펀드 부실을 알고도 숨긴 채 판매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특히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해 4월 6일 신규 자펀드 출시를 중단했지만, 기존 자펀드 모집을 중단하지 않고 4월 말까지 설정 작업을 지속해 투자자들의 책임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은행이 라임펀드 부실 가능성을 처음 인지한 시점은 지난해 2~3월로 알려졌다. 은행 측은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주지 않으려고 내린 판단이라는 입장이다.

우리은행에서 지난해 4월 12일자로 ‘라임 Top2 밸런스 6M’ 펀드에 가입한 A(67)씨는 “은행에서 후속 펀드 판매 중단 같은 말을 해준 적이 없다. 알았다면 투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피해자 모임에선 “판매 지점은 본사의 신규 판매 중단 지침을 받지 않았다고 해명했다”며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업계에서도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며 최소 도의적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펀드매니저는 “자펀드는 편의상 나눈 것이지 동일한 모펀드에 들어간다. 모펀드에 부실 가능성이 있어 신규 자펀드 출시를 중단했다면 기존에 모집 중이던 자펀드도 팔지 않는 게 옳다. 일관성에 문제가 있다”며 “부실이 확실하게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투자자에게 돈을 되돌려주기엔 절차상 등의 복잡한 문제가 있어 설정을 마저 했을 것”이라고 봤다.

향후 금감원, 검찰 조사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판단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부실을 인지한 순간에 기존 자펀드 판매도 끝냈어야 했다”며 “부실을 알면서도 가입을 받은 것은 계약 무효에 해당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일단 다음달께 시작될 우리은행 현장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 검사를 나간 것이 아니어서 말할 수 없다”면서 일단 “(사모) 시리즈 펀드의 공모 규제 회피는 운용사 측 문제”라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