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울산형 공유경제 뜬다”…울산시, ‘조례 제정’ 정책 지원
울산시, 관련 계획 수립 … 3대 전략 7개 사업 구성
전기 공유자전거 ‘카카오 티(T)바이크’ 모범 사례로
조례 제정후 위원회 구성, 기본계획 수립 추진

울산시가 지난 해 9월 도입한 전기 공유자전거 ‘카카오 티(T)바이크’

[헤럴드경제(울산)=이경길 기자] 소비의 체계가 ‘소유’에서 ‘공유’로 전환되는 가운데, 울산시가 지난 해 9월 도입한 전기 공유자전거 ‘카카오 티(T)바이크’가 공유경제의 대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카카오티(T) 앱으로 자전거 위치를 검색하고 이용 후 결제를 하는 방식인 데다, 주차시설이 따로 없어 ‘자유롭게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는’ 이용 시스템이 호응을 얻고 있다.

울산시는 이처럼 기존 시장과의 충돌을 최소화 하는 범위에서 ‘울산형 공유경제 활성화 계획’을 수립, 적극 추진키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활성화 계획은 ▷ 울산 공유경제 제도적 기반 마련 ▷ 울산 공유경제 문화 확산 및 생태계 조성 ▷ 자생력 확보를 위한 공유경제 활동 지원 등 3대 전략, 7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했다.

앞서 시는 2016년 9월 ‘제24회 클로키움 개최’로 카셰어링 운영 및 공유교통 활성화 논의를 시작했으며, 쏘카 시연 및 주제발표, 서울시 등 선진 공유경제 관련 벤치마킹으로 공유자전거 시스템 확대 구축, 산업단지 스팀 네트워크 등 17건의 사례도 발굴했다.

올해는 공유경제에 관한 실태조사와 사업의 추진체계 구축 등의 내용을 담은 ‘울산광역시 공유경제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상반기 중에 제정해 정책적·제도적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공유경제 주체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역할을 위해 현재 추진 중인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홍보는 물론 다방면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책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공공부문(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에서 보유·운영 중인 시설 및 공간, 물품 등의 공공자원을 국민들이 인터넷 또는 모바일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대국민 공공자원 개방·공유 서비스 통합 포털’이 2월말 문을 열 예정으로 있어 활용이 기대된다.

울산시는 이 외에도 셰어하우스 건립, 공동육아 나눔터, 청년활동 공유 공간을 발굴하는 맵브릿지 사업 등을 포함해 울산만의 생활 밀착형 특화 사업을 집중 발굴하고 육성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공유경제가 유휴자원 거래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저소득층, 청년, 노인 등 사회적 배려 계층의 소득 증대 및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업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공유의 바람을 타고 지역경제 활성화의 신사업 분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말했다.

hmd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