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기車 배터리 충·방전 효율↑…‘금속-공기전지’ 촉매 개발
- UNIST 김건태 교수팀, 망간·코발트 복합촉매 개발
- 촉매 합성과정 중 만들어진 계면이 효율 높여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김건태(오른쪽) 교수 연구팀.[UN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차세대 배터리로 각광받는 공기 중 산소를 이용해 충‧방전하는 ‘금속-공기전지’의 성능을 높여줄 새로운 촉매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김건태 교수팀이 금속-공기전지에서 공기를 받아들이는 양극에 적용해 충전과 방전의 성능을 모두 높이는 ‘복합촉매’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촉매 위에 금속촉매를 ‘원자 두께’로 아주 얇게 씌운 형태인데, 두 촉매 사이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경계면이 촉매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인다.

금속-공기전지는 음극에 있는 ‘금속’과 양극(공기극)에서 받아들이는 ‘산소’가 전자를 주고받는 산화환원반응을 하며 충·방전하는 이차전지다. 양극 물질로 공기를 이용하므로 가볍고, 전기 저장용량도 커서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의 후보로 꼽힌다. 전체 성능은 공기극에서 일어나는 산소의 산화환원반응 정도가 결정하므로 이 반응을 촉진할 촉매가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 촉매인 백금 등은 귀금속이라 비싸고 안정성도 낮다. 그 대안으로 성능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페로브스카이트 촉매’가 제시됐으나, 이 역시 충전이나 방전 중 한쪽 반응만 활성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충전과 방전 반응에서 각각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두 종류의 촉매를 결합한 복합촉매로 풀었다. 충전에서 성능이 뛰어난 ‘금속촉매(코발트 산화물)’를 방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망간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촉매’ 위에 아주 얇게 증착해 하나로 만든 것이다. 실험 결과, 증착 과정을 20번 정도 반복해 진행했을 때 두 촉매의 시너지 효과가 최적이 됐다.

김건태 교수는 “값싸고 효율 높은 촉매를 금속-공기전지의 공기극에 적용하면 상용화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에 원자층 증착을 접목해 차세대 공기극 소재 개발에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에너지(Nano Energy)’에 2월 3일자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