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역사회 확산 막으려면 모든 의심환자 모니터링까지 고려해야"
이재갑 교수 "상황 악화 중, 정부는 3~4수 앞을 보고 전면전 준비해야"
이재갑 교수가 5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처방안 토론회에서 감염 대책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중국에서 입국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심환자에 대한 모니터링까지 필요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5일 오전 서울 중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처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환자 대책 관리와 전염 예방대책'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국내 신종코로나 확진환자는 5일 오전 2명이 추가돼 18명으로 늘었다. 시간이 갈수록 상황은 악화되고 있다. 더구나 중국을 방문하지 않은 사람들 중에서 감염자가 나오고 이들로 인한 2차 감염자까지 계속 나오면서 지역사회 확산에 대한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현재 밝혀진 것에 의하면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주요 증상은 발열, 기침, 피로감, 호흡곤란 등이다. 잠복기는 바이러스 노출 후 2~14일 정도로 보인다.

이재갑 교수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호흡기 비말로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사람간 전파 가능성이 확인됐다"며 "사람간 전파가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 이상 2,3,4차 전파에 대한 것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없게 됐다"고 말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전염력은 1.4~2.5 정도로 추정된다. 전염력이란 한사람의 감염자가 감염 가능 기간동안 직접 감염시키는 평균 인원수를 말한다. 사스가 4.0, 메르스가 0.4-0.9 정도다.

무증상 전염에 대해서 이 교수는 "사례를 볼 때 증상이 아주 모호하게 일주일동안 천천히 진행된 것을 볼 수 있다"며 "민감한 사람은 빨리 증상을 느낄 수 있지만 무딘 사람은 증상을 못 느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즉 증상이 없을 때인지 증상 초기인지 헷갈릴 수 있다. 증상이 진행될수록 감염 확률은 높아지지만 증상 초기에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치료 권고안에 따르면 확진자에게는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고려하고 폐렴 소견을 보이면 즉시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하라고 하고 있다.

이 교수는 "현재로서는 지역사회로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목표"라며 "중국 외 다른 지역에서 감염자가 들어오고 있어 지금의 검역방법으로는 막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서 "상황이 계속 나빠진다면 조금이라도 의심되는 사람은 모니터링을 하는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며 "만약 지역사회로 감염이 시작되면 피해를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전문가들은 정부한테 방역시스템을 한~두 단계 빨리 가자고 하는데 지금으로서는 바이러스의 전파 속도를 못 따라잡고 있는 듯 하다"며 "이제는 3~4수 앞을 보고 바이러스와 전면전을 할 대비까지 필요하다"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