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풍요로워졌지만 행복하지 않은 한국인
행복지수 30년째 OECD 하위권
소득·성별격차 등 악화가 주요인

한국인의 행복 수준이 30년 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에 머물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소득 수준이 향상됐지만, 양극화에 따른 소득 격차가 확대됐고, 건강은 좋아졌지만 안전에 관한 행복도는 크게 낮아졌다.

5일 한국경제학회 한국경제포럼에 실린 ‘행복지수를 활용한 한국인의 행복 연구’에 따르면 물질적·사회적 기반에 관한 한국의 행복지수는 1990년과 2017년 모두 OECD 31개국 가운데 23위였다.

박명호 한국외대 교수와 박찬열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삶의 질과 밀접한 27개 지표를 바탕으로 OECD 36개 회원국 중에서 규모가 작은 곳을 뺀 31개국의 행복지수를 물질적·사회적 기반에 관한 분야와 격차에 관한 분야로 나눠 산출했다.

물질적·사회적 기반에 관한 분야에서 한국의 순위는 약 30년 전과 같았다. 다만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었다.

한국은 소득 수준이 1990년에 OECD 28위였으나 2017년에 20위로 여덟 계단 올라섰다. 당시 6516달러에 불과하던 1인당 GDP가 2만9743달러로 뛰어오른 데 따른 결과다.

하지만 안전에 관한 지수는 1990년 15위로 중위권이었으나 2017년 최하위권인 30위로 떨어졌다. 한국인이 체감하는 심리적인 안전 수준이 다른 선진국보다 나빠졌고, 자살률도 올라갔기 때문이다.

소득격차는 1990년 21위에서 2017년 27위로 여섯 계단 내려왔다. 국민들의 전체적인 소득 수준은 높아졌지만, 격차는 벌어지며 전체적인 행복도를 끌어내렸다.

성별격차는 1990년과 2017년 모두 조사대상국 가운데 꼴찌인 31위였다.

박명호 교수는 “한국인의 행복수준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해 하위권에 속한다”며 “물질적·사회적 격차에 관한 부분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해 더 빠르게 악화하는 양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정순식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