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한 폐렴 문의 폭주에 마비된 ☎1339…최대 100명까지 늘리기로
질본 "현재 30명이 대응 중…긴급인력 20~30명 우선 충원"
28일 경기도 평택시의 한 어린이집에 신종 코로나로 인한 임시 휴원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 제공]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질병관리본부가 현재 30명 수준인 우한 폐렴 상담센터(☎1339) 대응 인력을 장기적으로 최대 100명까지 확대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하면서 의심 증상을 신고하는 콜센터 문의가 급증함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질본은 중국에 다녀와 14일 안에 발열, 마른기침, 숨 가쁨 등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관할 보건소, 지역 콜센터(☎지역번호+120), 질병관리본부 상담센터(1339)의 상담을 먼저 받은 뒤 의료기관을 방문해달라고 강조하고 있다.

국내 확진 환자가 4명으로 늘어나고 이들의 거주지, 이동 동선 등이 공개되면서 콜센터 문의는 평소의 20~30배로 늘어났다. 질본에 따르면 하루 평균 500~700건이던 문의 건수는 현재 1만 건 이상이다.

이에 따라 콜센터와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민원도 빗발치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확진 환자와 같은 병원을 방문한 후 감기 증상이 있어 1339에 여러 차례 전화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다는 게시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정은경 질본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현재는 30명 정도가 대응 중”이라며 “긴급히 20~30명을 더 확보할 예정이고 장기적으로는 약 100명까지 충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관련 기관 콜센터와 연계해 민원을 분산하는 등 체계를 개선하고 있다. 최대한 민원인들의 대기시간을 줄이는 한편 중국에 다녀와 의심증상을 보인 사람이나 이 사람을 진료한 의료기관의 문의를 놓치지 않겠다는 것이다.

정 본부장은 “현재 1339 문의 중에는 (중국에 다녀오지 않은) 일반인들의 전화가 상당수여서 이런 질문은 건강보험이나 심평원 콜센터로 전환·분리될 수 있도록 내부 시스템을 확대 중”이라며 “1339에서는 중국에 다녀온 국민과 의료기관의 콜에 더욱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설명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