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지난 30년 봐도…지난해 저물가, 디플레 아니다”
원자재값 하락, 농산물 가격안정
정부 무상복지 강화도 일정 기여
한은, 시기별 물가분석통계 내놔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한국은행은 23일 지난해 저조했던 물가 상승률에 대해 “국제유가 및 주요 국제원자재 가격이 크게 하락한 데다 양호한 기상여건으로 전년에 비해 농산물가격이 안정화된 데 주로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이날 발간한 ‘우리나라의 물가통계(2019년 개정판)’을 통해 “2019년 들어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는 0%대의 낮은 상승률을 지속하다가 3/4분기 들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또한 무상급식 및 무상교육, 건강보험 적용확대 등 정부의 복지정책 확대도 소비자물가의 하락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물가통계에 따르면 1980년대 중반까지 성장기반을 다져왔던 우리 경제는 1987년부터 경제성장에 비해 지나친 통화증발, 노동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상승, 부동산가격의 급등, 금리 상승 등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현저해지면서 물가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후 1990~1991년 중엔 소비자물가가 8~9%의 급등세를 보이가 1992년 이후 정부의 경제안정화 노력, 국제 원자재 가격의 안정 등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완화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97년까지 5% 내외,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3% 내외에서 등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다 1997년 외환위기에 따른 환율 급등으로 원자재 수입비용이 크게 오르면서 소비자물가는 1998년 중 7.5%, 생산자물가는 12.2%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9년 이후엔 환율이 안정세를 보인데다 IT 산업의 발전, 대형 할인점 등장에 따른 유통구조 변화 등으로 공산품 가격 오름세가 크게 둔화되면서 2001년(4.1%)을 제외하고 대체로 안정세를 나타냈다.

2002년부턴 국제유가가 장기 상승세를 나타냈으나 원화환율이 하락,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 이내로 유지됐고, 2008년 들어선 중국 경기 호조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및 글로벌 금융위기로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가 각각 8.6%, 4.7% 상승하는 등 물가 오름세가 큰 폭 확대됐다.

2009~2010년 중엔 금융위기 여파로 수요압력이 낮아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 이내로 재차 안정됐고, 2011년 중엔 원자재 및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물가가 4.05% 상승한 뒤 2013년부턴 1% 내외의 낮은 오름세를 지속했다.

2017년엔 국제원유 가격 상승으로 수입물가가 크게 올라 소비자·생산자 물가가 각각 1.9%, 3.5% 상승했으나 이후 원자재·농산물 가격이 안정되면서 작년엔 0%대의 낮은 상승률 지속하고 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