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20, 20! ③]전문가들 “스무살, 디지털에 밝지만…복고 등 脫디지털 성향도 강해”
“수축사회 열렸다…성장시대와 다른 접근 필요”
“급변해왔던 교육정책, 이들의 사회불신에 영향”
“설문 통해 대한민국에 준엄한 경고 보내” 평가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올해 우리 나이로 스무 살을 맞은 청년들의 정치·사회·경제 인식을 담은 헤럴드경제의 설문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현실에 준엄한 경고 메시지를 담고 있다”며 “수축사회가 본격화하면서 기존 성장시대와는 다른 방식의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스무 살 청년에 대한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디지털·탈(脫)디지털 성향이 병행돼 있고 ▷실용주의와 개인주의가 강하며 ▷정치 참여적이면서, 현 정부에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스무 살 청년들은 스마트폰과 유튜브에 친숙한 반면, 유튜브에 대한 신뢰도는 떨어지는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디지털 세대이면서도 디지털의 부작용을 파악하고 일정한 ‘거리두기’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온라인에 친숙하면서도 아직까지 오프라인 대화를 선호하는 등 ‘탈디지털’ 현상이 상당 기간 병행될 것”이라고 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도 “유튜브 등 개인 콘텐츠 제작 교육을 학교 등에서 이미 습득한 경험이 반영됐을 것”이라며 “(개인 콘텐츠를)직접 제작하다보니 각색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신뢰보다는 재미있는 볼거리로 여기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쉽게 공감하지 못하고 미국 등 주요 동맹국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은 기성세대와 다른 실용적인 사고관에서 기인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김 교수는 “회사에서건 학교에서건, ‘내가 할 일하고 내 월급, 내 성적 받으면 된다’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며 “수업중 ‘팀플’에 대한 선호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기성세대는 통일에 대해 정서적으로 당위성을 갖고 있었지만, 요즘 세대는 통일에 대해 심리적 거리감이 크고 실용적 태도가 강하다”고 풀이했다. 지난해 1995년부터 2000년 이후 출생한 Z세대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내놓았던 최원준 펑타이코리아 지사장은 “전 세계 경제가 역사상 처음으로 수축으로 접어들며 부모 세대보다 부유하지 못한 첫 세대로, ‘수축사회’를 맞은 세대 특성이 반영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설문에서는 선입견과 달리 스무 살 청년들의 정치 성향이 진보적이기보다는 중도 비율이 높고, 오는 4월 총선에 대해 적극적인 투표 의향을 갖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중도 성향이 많고 ‘투표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다는 점은 정치적 의미가 크다”며 “지난해 태극기 집회·촛불시위를 겪으며 정치 참여 의사가 높아지긴 했지만, 보수와 진보 모두를 불신하는 양비론이 불거진 결과”라고 풀이했다. 김 교수는 “학생운동이 활발하던 세대 이후로 젊은 층에서 진보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고 했다.

‘대한민국이 불공정하며, 이른바 ‘헬조선’이라는 견해에 공감한다’는 설문 결과에 대해 이 교수는 “아픈 이야기다. 우리나라 현실에 대해 준엄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며 “촛불 정부가 출범한 지 햇수로 4년차를 맞았지만, 조국 사태 등 불평등이 만연한 현 정부에 대한 실망을 표현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렇다면 기성세대는 이들을 어떻게 맞아들이고 준비해야 할까. 최 지사장은 “수축사회를 여는 세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어릴 때부터 모바일로 온라인 접속이 일상인 첫 세대. 디지털이 없던 시절을 이해 못하는 세대라는 의미를 포함)라는 점에서 젊은 친구들이 ‘틀린’ 세대가 아니라 엄연히 변화된 환경에서 자란 ‘다른’ 세대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더 어린 세대는 ‘어릴 때’부터가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수축사회와 디지털 네이티브 생활을 맞는 만큼 이 같은 현상은 심화될 것”이라며 “변화의 속도가 적응의 속도를 초월하고 있다. 젊은 세대는 성장시대의 경험을 강조하는 자체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한 해가 멀다하고 바뀌는 교육정책도 사회에 대한 ‘스무 살의 불신’을 키우는 데 일조했을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그는 “교육정책에 남아있는 불공정 요소도 문제지만, 일단 법적 안정성이 너무 없다”며 “현재 중고교 학년별로 대입정책이 다 다르다. 교육은 백년지대계인만큼 신중하게 큰 중심을 유지하며서 부분적으로 서서히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youkno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