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경두 신년사 "北해안포사격, 군사합의 위반…우발충돌 가능성 커져"
-정 장관, 1일 신년사 발표
-북한 군사합의 위반 지적
-주변국 군사력 증강 가속
-"함께 꾸는 꿈 현실 된다"
정경두 장관이 20일 서울 국방부 청사에서 '국방개혁2.0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점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신년사에서 북한의 창린도 해안포 사격을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다시 한 번 지적하고, 우발적 충돌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군사대비 태세를 강조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1일 "새해에도 우리가 직면한 안보 상황이 결코 녹록지 않다"며 "국민과 함께 평화를 만드는 강한 국방을 실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이날 2020년 신년사(지휘서신 제8호)에서 "북한은 지난해 총 13회에 걸쳐 25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등을 발사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정 장관은 "북한은 창린도 해안포 사격으로 9.19 군사합의를 위반했고, 최근 동창리 지역에서의 엔진 시험 등 군사 활동과 함께 '수사적 위협'도 증가시키고 있다"며 "주변국은 항공모함, 스텔스 전투기, 전략감시·정찰자산, 각종 탄도미사일 등 군사력 증강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중과 해상에서의 우발적인 충돌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테러·사이버·재해·재난 등 초국가적·비군사적 안보위협도 증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장관은 "지휘관을 중심으로 엄정한 군 기강과 정신적 대비태세를 확고히 다지고 실전과 같은 훈련을 통해 '현용전력운용'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조정된 방식의 연합훈련과 연습을 통해 철통같은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해주기를 바란다"며 "9.19 군사합의를 다시 실효적으로 이행해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진전될 수 있도록 추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을 올해의 핵심과제로 추진해 기반을 다지고, 구체화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를 바란다"며 "우리 군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디지털 강군, 스마트 국방' 건설에 더욱 매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투명·공정하고 효율적인 국방 운영체계를 확립해야 한다"며 "국방예산 50조원 시대를 맞이해 단 1원도 낭비되지 않도록 국방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각별히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혼자 꾸는 꿈은 단지 꿈일 수 있으나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는 말처럼 모두의 마음과 뜻을 모아 노력한다면 우리 정부의 '힘을 통한 평화'를 '강한 힘'으로 뒷받침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지난 한 해 정부의 북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정착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한 힘'으로 든든하게 뒷받침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정 장관은 "올해는 6.25 전쟁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되는 해"라며 "과거 아픈 역사가 두 번 다시 되풀이되지 않도록 빈틈없는 군사대비태세를 갖추고 군 본연의 임무에 더욱 충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 장관은 이날 육·해·공군과 해병대 장병들에게 전화를 걸어 격려하고, 확고한 군사대비태세 유지를 당부한다.

정 장관은 이날 오전 육군 동해안 해안경계부대 대대장, 해군 울릉도 조기경보부대장, 공군 패트리엇부대 작전 중대장, 해병대 우도 경비대장에게 우리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격려했다.

정 장관은 통화에서 "국민이 우리 군을 믿고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지금, 이 순간에도 각자의 위치에서 부여된 소임을 헌신적으로 완수하는 장별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은 어느 때보다 빈틈없는 감시태세와 확고한 군사대비태세 유지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엄정한 군 기강과 정신적 대비태세를 다지고 현행작전 수행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장관은 오후에 남수단 한빛부대, 레바논 동명부대, 아덴만 청해부대 등 해외 파병부대 장병들과 전화 통화를 하고 격려할 예정이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