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지 마비까지 일으키는 '시신경척수염'…환자 매년 20%씩 증가
-서울대병원, 다발성경화증과 시신경척수염의 유병률 분석
-시신경에 염증 생기면 시력 저하에 심하면 사지 마비까지
국내 시신경척수염 환자가 매년 20% 가까이 증가하고 있다.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국내 시신경척수염 환자가 매년 20% 정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김성민·서울의료원 김지은·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팀은 2010-2016년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통해 다발성경화증과 시신경척수염의 유병률을 조사했다.

시신경척수염은 시신경이나 척수에 자가면역성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눈 뒤쪽 시신경에 염증이 시작되어 시력이 저하되거나 시야가 흐려지고 통증이 나타난다. 염증이 척수에 발생할 경우 사지마비나 호흡곤란 등 장애를 초래하기도 한다. 여성 환자가 약 70-90%를 차지하고 상대적으로 아시아인에게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돼 왔다.

조사 결과 국내 다발성경화증과 시신경척수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시신경척수염은 증가 속도는 매우 빨라서 2010년 375명에서 2016년 1365명으로 늘었다. 이를 10만명 당 환자수로 계산하면 0.75명에서 2.56명으로 매년 18.5% 씩 증가한 것이다. 다발성경화증도 매년 5.4%씩 꾸준히 증가했다.

김성민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이 연구는 한국인이 서양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신경척수염에 취약한 유전적 혹은 환경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며 “그동안 정확한 진단이 되지 않았던 시신경척수염 환자들이 의료기술 발전으로 조기진단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시신경척수염은 다발성경화증과 초기 증상이 유사할 수 있어 다발성경화증으로 오인되거나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김 교수는 “시신경척수염은 다발성 경화증과 예후와 치료 방법이 매우 달라 정확한 초기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다발성경화 저널(Multiple Sclerosis Jour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