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발바닥 찌릿한 '족저근막염'…50대 여성 환자 가장 많아
-건강보험공단, 족저근막염 진료환자 분석
-2018년 진료환자 25만8000여명, 연평균 9.6% 증가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발바닥에 통증을 일으키는 ‘족저근막염’ 환자 중에는 50대 여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통해 2014~2018년 족저근막염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5년간 연평균 9.6%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1.3배 많았으며 5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족저근막은 발 바닥에 넓게 퍼져있는 단단한 섬유성 결합조직 구조물로 다섯 개의 발가락에서 시작해 발바닥 뒤꿈치 뼈 전내측 부위에 부착해 있다. 걸어 다닐 때 발을 올려주며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이 부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족저근막염이라 한다.

오랫동안 앉아 있거나 누워 있다가 갑자기 발을 딛을 때 뒤꿈치 주변부 발바닥에 찢어지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을 느낄 때가 많다.

지난 2014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족저근막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17만 9000명에서 2018년 25만 8000명으로 44%(연평균 9.6%)가 증가했다.

남성은 2014년 7만 6000명에서 2018년 10만 9000명으로 45.2%(연평균 9.8%), 여성은 10만3000명에서 14만8000명으로 43.2%(연평균 9.4%) 증가해 남녀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18년 족저근막염으로 진료 받은 여성은 14만8125명(57.4%), 남성은 10만9804명(42.6%)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3배 많았다.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50대 환자(6만7317명, 26.1%)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40대(5만4904명, 21.3%), 60대(4만859명, 15.8%) , 30대(4만54명, 15.5%)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50대가 4만 5000명(30.9%)으로 가장 많았고, 40대(21%), 60대 (17%)순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40대가 2만 3000명(21.6%)으로 가장 많았고, 30대(20%), 50대(19.7%) 순이었다.

10만 명당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2014년 356명에서 2018년 505명으로 연평균 9.1%가 증가했다.

박민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족저근막염은 보통 40-60대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이 연령대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서 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질환 증가의 한 가지 원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건강보험 진료비도 2014년 161억 원에서 2018년 263억 원으로 101억 원이 늘어 연평균 13% 증가했다.

박 교수는 “장시간 서있거나 운동을 하는 경우 수시로 족저부 스트레칭과 마사지 등을 해주고 과체중일 경우 적절하게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또한 발바닥 부위에 쿠션이 있는 편한 신발을 신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