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SG 공시 “의무화보다는 자율이 효과 높아”
환경·사회·거버넌스 등 ‘비재무적 투자’ 공시 의무화 추진에 우려
“지배구조 공시가 기업의 비용으로 작용”

[헤럴드경제=이세진 기자] 최근 기업들에 ‘ESG(환경·사회적책임·거버넌스)’를 반영한 투자 확대가 강조되면서 공시 의무화 등 법제화에 대한 논의가 나오고 있지만, 의무보다는 자율이 기업의 건강한 ESG 투자를 늘릴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1일 ‘기업 비재무적 정보 공시가 재무성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공시 의무화에 대한 우려를 내놓았다.

ESG 투자는 기업의 재무적 요인 외에도 환경(Environmental), 사회적책임(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등 ‘비재무적 요인’을 강조한 투자를 의미한다. 2006년 제정된 UN 중심의 책임투자원칙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앞서 국민연금은 지난해 ESG 전담조직을 확대하고 ESG 평가지수 활용을 투자기준 및 주주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밝힌 바 있다. 이어 지난달 29일 ESG를 반영하는 책임투자를 전체 자산군으로 확대하는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을 의결했다.

이에 ESG 내용을 평가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관련 정보 공개를 법제화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경연은 이날 보고서에서 ESG공시 수준 변수로 객관적 지표를 활용하기 위해 제3자 기관인 블룸버그 지표(Bloomberg ESG disclosure index)를 분석에 활용했다.

블룸버그는 매년 중대형 시가총액기업을 대상으로 최소의 정보 공시를 뜻하는 0.1점부터 100점 만점의 척도를 이용해 각 산업별로 공시 수준을 평가하고 있다. 현재 블룸버그가 ESG공시를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의 비금융 상장사는 90개로, 2007년 36개에서 꾸준히 증가해 왔다.

기업지배구조, 사회, 환경 순으로 높은 공시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는 2007년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경연이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ESG 공시가 대체적으로 기업의 재무성과와 시장가치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먼저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을 때, 종합, 환경, 사회적책임, 지배구조의 모든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보고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고 해서 이를 비재무적 정보의 공시가 무의미함으로 해석할 수 없으며 또한 반대로 공시 확대 또는 의무화 정책 역시 의미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해석했다.

재무성과 분석에서는 수익성 지표인 ROA(자산수익률)에 대해 유일하게 지배구조 공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지배구조 공시 수준이 수익성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기업의 비용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뜻한다.

한경연은 연구 결과와 함께 중국에서의 ESG 공시의무화가 배당 감소 등 주주 가치 감소를 이끌었다는 최근 연구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김윤경 한경연 기업연구실장은 “최근 자본조달, 글로벌 경쟁기업과의 비교 등 시장의 변화를 통해 우리 기업이 자율적으로 공시 방법과 내용을 확대해가고 있다”며 “ESG 공시를 법제화한다 하여도 근본적 변화 없이 공시항목 증가 등의 방법으로 눈가리기식 회피가 가능하므로 기업 내부 필요성에 의한 적극적 소통과 변화를 기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jin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