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지럼증 일으키는 이석증, 중장년 여성 특히 주의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2.4배 많아
50세 이상 여성의 1.8%가 진료 받아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어지럼증의 원인이 되는 이석증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아 중장년 여성이라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자료를 통해 최근 5년 간 ‘이석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현황 분석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이석증이란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에 얹어져 있는 미세한 돌·이석이 떼어져 나와 신체를 움직일 때마다 반고리관을 자극해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정식 명칭은 ‘양성 돌발성 두위 현훈’으로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짧고 반복적인 빙빙 도는 회전성 어지럼이 나타나는데 특히 아침에 일어날 때, 옆으로 누울 때, 위를 쳐다보거나 고개를 숙일 때 어지럽다.

이석증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2014년 30만 명에서 2018년 37만 명으로 5년 동안 연평균 4.8% 증가했다. 2018년 진료인원 중 여성은 26만 명으로 남성의 2.4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10만명당 진료인원으로 보면 전 국민의 0.7%가 진료를 받았는데 특히 50세 이상 여성의 1.8%, 40대 여성의 1.0%가 진료를 받아 중장년 여성 환자가 특히 많았다.

연평균 환자 증가율은 20~40대에서 4~5%대로 높게 나타났다. 환자 1인당 평균 내원횟수는 2.3회였으며 환자 중 75%는 2번 방문 이내로 치료를 마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석증의 절반 정도는 특별한 원인이 없는 특발성이다. 특발성 이외 원인으로는 두부외상(교통사고, 낙상 등에서의 머리의 물리적 충격) 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돌발성 난청, 전정신경염 등 내이 질환에 의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이 이석증 환자들에서 이석증이 없는 사람들보다 유의하게 많다는 보고가 있어 비타민 D 부족이나 결핍이 이석증의 원인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정준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특발성 이석증의 경우 고령과 여성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아직 명확한 이유는 규명되지 않았다”며 “최근 이석증 환자에서 골다공증이 많다는 연구 결과를 볼 때 폐경기 후 호르몬 변화와 골밀도 감소로 골다공증이 많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석증의 치료방법으로는 특정 반고리관의 특정 유형 이석증이 확인되면 머리를 돌려가면서 중력 방향으로 이석이 이동하여 다시 제자리에 위치하게 하는 이석치환술이 있다.

이석증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다만 두부외상 후에 발생할 수 있어 머리의 물리적 충격을 피하는 것이 예방이 될 수 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