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교육 잡겠다”면서 ‘도로 수능’ 회귀한 정부…교육업계 “사교육 시장 더 호황”
수능 위주 전형, 사교육 유발 높아…입시업계 ‘반색’
“사교육 영향령 높여 교육격차 확대 결과 초래” 비판
‘점수로 대학 가는’ 수능 위주의 정시가 확대하면서 오히려 수능 사교육 시장이 더 과열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 대치동 학원가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정부가 대학 입시에서 ‘부모 찬스’, ‘고액 컨설팅’ 등 외부 요인을 차단하기 위해 ‘점수로 대학 가는’ 수능 위주의 정시를 확대하면서 오히려 수능 사교육 시장이 더 과열될 것이라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29일 교육계와 입시업계에 따르면 교육부가 지난 28일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등 서울 소재 16개 대학의 수능 위주의 정시비중을 2023년까지 40% 이상 확대하라고 권고하면서 수능·재수 관련 사교육 시장 업체들이 반색하고 있다.

오히려 사교육 유발을 방지하겠다는 정부의 의도와 달리 수능 등 사교육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수능 위주 전형은 다른 전형에 비해 사교육의 도움을 받아 성적을 높일 수 있는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한마디로 사교육 수능 시장은 호황을 누릴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 소장은 “정시 확대는 재수 욕망을 불러 학령인구 감소로 다소 우울해있던 재수학원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면서 “정시 컨설팅 시장은 더 커질 것이며 온라인 합격진단 프로그램을 포함해 온라인 컨설팅 시장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현 중3들이 12월 고교 진학 시 정시 확대 기조에 따라 외국어고, 자율형사립고를 비롯한 우수 명문 일반고 지원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오는 2025년 자사고·특목고가 폐지되기까지 이들 학교를 노리는 학원들이 ‘반짝 특수’를 맞을 수 있는 셈이다.

실천교육교사모임은 성명을 통해 “정부가 마치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처럼 포장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사교육 영향력을 높여 교육 격차를 확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정시 확대로 교육특구인 서울 강남과 목동 등의 부동산 가격이 폭등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정시 확대 비율을 40%로 못 박은 점과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폐지 방안이 포함돼 있지 않아 고교 교육과정 운영이 수능 문제 풀이 중심으로 파행될 수 있고, ‘교과 지식을 묻는 구술고사’를 폐지하는 방안이 없어 사교육 대란이 일어날 것”이라며 “사교육비 폭증 및 강남·목동 지역 부동산 폭등 등의 추가적인 문제가 터질 수 있는 만큼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