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黃 단식’ 여파…격변 보수진영 잡음 ‘잠잠’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단식이 리더십에 관한 당 안팎 잡음을 잠재우는 효과를 낳는 모습이다. 다만 ‘극약 처방’에 따른 일시 효과일지, 당 장악을 위한 견고한 디딤돌이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모습이다.

한국당 핵심 관계자는 27일 통화에서 “많은 인사들이 정부여당을 향한 황 대표의 목숨을 건 단식 투쟁에서 진정성을 본 것 같다”며 “정부여당 압박을 넘어 보수의 각 진영 간 감정을 누그러뜨리는 데도 상당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황 대표는 그간 당 안에선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간 세력 싸움과 초·재선과 중진 사이의 ‘용퇴’ 갈등, 당 밖에선 바른미래당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 등과의 보수통합 의견 불일치 갈등 등으로 총체적 난국에 빠진 상태였다.

황 대표의 단식으로 당 안팎 잡음이 줄어드는 것은 그를 찾은 인사들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전날에는 유승민 바른미래당 변혁 전 대표가 황 대표의 농성장을 방문했다. 이들은 사실상 서로가 보수통합의 카운터파트지만, 황 대표가 단식에 나서기 전까진 이렇다할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되레 멀어지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올 만큼의 상황도 몇차례 연출됐다. 유 전 대표는 이날도 보수통합과 관련해 말은 하지 않았지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법안을 저지하자며 단식 중단을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지켜본 한국당 관계자는 “결국 이들은 모두 문재인 대통령을 표적으로 맞서야 할 처지”라며 “두 인사 간 논의할 점은 아직 상당하겠지만, 이번 만남에선 긴장감이 어느정도 완화된 것을 느꼈다”고 했다.

한국당 내 친박·비박도 계파 구분 없이 농성장을 찾아 황 대표를 응원 중이다. 초·재선과 중진 사이에서 빚어지던 인적쇄신 내지 용퇴·험지 출마론 갈등은 종적을 감췄다. 황 대표 등 ‘지도부 사퇴론’도 쑥 들어간 상태다.

황 대표의 단식이 애초 이런 효과를 노리고 진행됐다는 목소리도 상당하다. 삭발 이후 또 다시 위기에 몰렸을 때를 위해 아껴둔 카드를 쓴 것이란 말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관건은 단식 이후 상황이다. 지금은 초강수를 통해 여러 현안에서 잠시 주도권을 잡았을 뿐, 총선 기간이 성큼 다가오는 내년부터는 또 다시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결국 황 대표가 얼마나 여론을 움직이느냐가 관건”이라며 “국민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방안을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원율 기자/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