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산시, 파워반도체 ‘탄화규소(SiC)국제심포지엄’ 개최
‘부산시 파워반도체 국제전문위원 위촉식’도 개최
‘신산업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추진성과’ 발표 예정

[헤럴드경제(부산)=윤정희 기자] 부산시(오거돈 시장)는 오는 28일 오전 9시 부산웨스틴조선호텔에서 국외 탄화규소(SiC) 관련 연구개발 정책, 기술개발, 산업화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해외 전문가를 초청해 ‘2019 SiC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올해 세 번째 열리는 심포지엄은 세계적인 탄화규소(SiC) 파워반도체 최신기술을 국내에 소개하고 국내 탄화규소(SiC)기술개발 확대 및 사업화를 촉진,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글로벌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다.

‘파워반도체’는 전기차,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전력을 변환·제어·분배해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리고 전력사용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연비가 중요한 전기차의 경우 기존의 실리콘(Si) 반도체 대비 에너지 손실을 최대 90%까지 절감 가능한 물성을 지닌 탄화규소(SiC) 파워반도체가 필수적으로 탑재되어 국내외에서 탄화규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부산시와 함께 파워반도체 국산화 및 지역제조업 침체에 따른 대응책으로 지역활력회복프로젝트에 ‘부산시 파워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를 선정했다. 이와 관련해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 파워반도체 신뢰성평가인증센터 구축사업,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 건립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 추진성과를 이번 심포지엄에 국내외 관계자에게 소개할 계획이다.

또한, 부산시는 파워반도체 국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기술력 격차해소 등을 위해 탄화규소(SiC) 파워반도체 분야 해외 권위자인 울리케 그로스너(스위스, 취리히공대 교수), 칼-미카엘 셔틀링(스웨덴, 스웨덴왕립공과대 교수), 토마스 나이어(독일, 온세미컨덕터 석학위원), 마커스 베헷(벨기에, 에피겐 최고마케팅책임자), 안톤 바우어(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부문장)를 초청해 29일 시청에서 국제자문위원으로 위촉하고 파워반도체 정책에 대한 조언을 요청할 계획이다.

오거돈 시장은 “우리 시는 신산업으로 파워반도체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기장군 동남권 방사선의‧과학산업단지내에 파워반도체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으며 최근 파워반도체 기업을 포함한 5개사가 입주계약을 마치는 등 성과가 있었다”며, “앞으로 국내 파워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집적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