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미국보다 돈 더 풀렸다…부동산·예금에 쏠려
GDP 1.5배…OECD 상위
경제활동 투입액은 미미해
장기침체 겪은 日 ‘닮은꼴’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시중에 국내총생산(GDP)의 1.5배가 넘는 돈이 풀려있지만, 부동산에 쏠리고 은행 예금에 묶여있는 등 민간의 경제활동 활성화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침체를 겪은 일본과 닮은 모습이다.

27일 세계은행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명목 GDP 대비 광의통화(M2) 비율은 151.5%다. 현금, 요구불예금, 만기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머니마켓펀드 등이 속한 광의통화는 작년 말 기준 2천700조4000억원으로 명목 GDP(2010년 기준년) 1782조3000억원의 1.5배였다.

경제 규모에 비교한 통화량은 2011년 131.4%에서 2016년 146.6%로 빠르게 상승했다. 이후 2017년 146.2%로 잠시 둔화했으나 지난해 다시 높아졌다.

이는 시중에 풀린 돈은 불어나는데 자금이 투자, 소비 같은 생산적인 방향으로 흐르지 못한 채 부동산에 쏠리고, 은행 예금에 묶인 결과로 보인다. 늘어난 유동성만큼 민간의 경제활동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했다는 뜻이다. 반대로 GDP 대비 M2 비율이 하락했던 2017년에는 성장률이 3.2%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3%대를 넘어섰었다.

전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 보면 한국의 비율은 홍콩, 일본, 중국보다 낮지만 미국이나 전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았다.

미국은 지난해 말 89.5%로 GDP보다 금융시장에 풀린 통화량이 더 적었다. 미국은 개인들이 자금을 예금 대신 주식으로 굴리는 것을 선호해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산업 위주의 특수한 경제구조를 가진 홍콩은 GDP 대비 통화량 비율이 384.8%로 통계가 집계된 128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다만 이 비율은 1년 전보다 10.9%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민은행이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 부양을 한 중국도 이 비율이 2016년 209.5%에서 2017년 204.2%로 낮아진 후 지난해는 199.1%로 떨어진 상태다.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일본은 한국처럼 경제 규모 대비 통화량 비율이 오르고 있다. GDP 대비 M2 비율이 2016년 243.5%에서 2017년 247.9%로 올랐고 작년에는 252.1%로 커졌다.

지난해 기준 OECD 회원국들의 GDP 대비 광의통화 비율은 116.2%였다. 전 세계를 기준으로 보면 124.7%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