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학 첨단학과 신·증설…10년간 8만명 미래인재 키운다
제1차 사람투자·인재양성협의회서 미래 인재 양성 방향 논의
매년 8000명 학생 정원 증원…의료인력도 지역·전공별 불균형 해소키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연합]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정부는 대학의 첨단학과를 신·증설해 미래 첨단 분야 학생 정원을 매년 8000명씩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인공지능(AI)·차세대반도체 등 첨단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2021학년도부터 10년간 8만명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주재로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사람투자·인재양성 협의회 겸 제15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유 부총리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조명래 환경부 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 관계 장관이 참석했다. 청와대 김연명 사회수석, 황덕순 일자리수석도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사람투자 10대 과제 추진 현황 및 미래사회 첨단분야 인재 등 양성 방향’을 논의했다.

정부는 대학에 AI·차세대반도체·소재부품·에너지 등 미래·첨단 분야 학과를 신설·증설해 관련 학생 정원을 2021학년도부터 10년 동안 매년 8000명씩 총 8만명 양성하기로 했다.

대학이 관련 융합학과를 만들 수 있도록 고등교육법 시행령과 대학설립운영규정 등을 개정하고, 학생 정원 조정 계획 등 구체적인 사항을 이달 중에 대학에 안내할 계획이다.

또 학령인구 감소와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해 교원 양성체제도 종합적으로 개편한다. 의료 분야 인력 양성에도 투자해 지역별·전문과목별 의료 인력 불균형을 해소하고,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공계 혁신 인재 양성 태스크포스(TF)는 산업계·학계·연구계와 함께 올해 말까지 ‘이공계 분야 혁신 인재 양성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올해 2학기 고등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누구나 평등한 교육 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는 고교 무상교육을 단계적으로 도입한데 이어 현재 실업자·재직자를 대상으로하는 ‘내일배움카드’를 내년부터는 ‘국민내일배움카드’로 통합해 실업자와 재직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자영업자 등 적용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미래 유망분야를 선도할 고급 인재 양성을 위해 올해 한국과학기술원, 고려대, 성균관대 등에 개설된 인공지능AI대학원과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을 내년에는 포항공대, 광주과학기술원 등으로 확대·운영하고 안산과 전주, 창원에 스마트공장 배움터를 구축하는 등 중소기업의 스마트 제조 혁신을 뒷받침할 전문인력도 양성하고 있다.

인력부족 등으로 외부훈련기관 이용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맞춤형 현장훈련 프로그램을 설계·보급해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고, 내년부터는 산업계와 기업이 직접 교육·훈련과정 개발·운영에 참여하는 맞춤형 현장인재 양성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온종일돌봄 원스톱서비스 제공 추진 계획도 논의했다. 정부 포털사이트인 ‘정부24(www.gov.kr)’에서 기관·시설별 돌봄 정보를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통합 제공하고, 희망 지역·시간 등 조건에 맞는 돌봄을 실시간으로 신청까지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편하기로 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