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한외과학회 "책임지도전문의 운영비용, 국가가 지원해야"
윤동섭 이사장 "환자안전을 위해 양질의 인재양성 중요"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대한외과학회(이사장 윤동섭 회장 노성훈)가 지난달 31일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수련기간 단축으로 인해 야기된 전공의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재 외과학회에서 정부 지원 없이 시행중인 ‘책임지도전문의 제도’ 에 대한 정부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의료선진국이 미국이나 영국도 책임지도전문의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이들 국가는 정부가 책임지도전문의에 대한 광범위한 비용적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이 제도 시행을 위한 예산을 학회 회원들이 십시일반으로 비용을 대고 개인 시간을 써가며 정착을 시킬려고 노력하고 잇는 실정이다.

윤동섭 이사장은 “타 학회에 모범이 될만한 제도를 만들었다고 자부하고 자기 시간을 쪼개가며 희생을 감수하고 있지만 이젠 한계상황이 와서 국가적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외과학회 이길연 수련교육이사는 “지금처럼 아무 대가도 없이 개인의 희생을 감수하는 방식보다는 가령 한 책임지도전문의가 업무의 30%정도를 전공의 교육에 투자한다면 이에 대한 비용을 정부가 서포트해 30%만큼의 환자를 덜 진료하고 대신 전공의 교육에 시간을 투자하는 방식을 마련해야한다”고 밝혔다.

노성훈 대한외과학회 회장은 “지금까지 (책임전문의제도 등 전공의 교육과 관련해) 재원을 회장단 기부, 일반회원 기부, 각 외과학교실 기부 등으로 이어가고 있다”며 “이제 한계가 오고 있다. 과거에는 학술대회에서 돈을 남겨서 재원을 마련하기도 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 제한 등으로 이것도 힘들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또 “외과학회 만큼 전공의 수련에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하는 학회가 없지만 이제는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며 “환자안전을 위해 양질의 인재양성이 중요하다. 학회에서 다 책임지기에는 너무 힘들다”고 덧붙였다.

전공의 교육뿐 아니라 환자에게 질 높은 의료를 제공하기 위한 세부분과전문의제도에 대해서도 정부 지원이 너무 적다는 지적도 나왔다. 노성훈 회장은 “외과학회는 2013년도부터 세부분과전문의제도를 도입해 5년마다 갱신하게 했다. 첫 5년 갱신이 돌아돈 2013년 세부분과전문의들의 2018년 갱신율은 83%였지만 올해 갱신이 돌아온 세부분과전문의들의 갱신율은 50%대”라며 “세부분과전문의 매리트가 없기 때문에 줄어든 것”이라고 말했다. 이길연 수련이사는 “세부분과전문의를 자격을 취득해도 이를 표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문제다. 노력과 시간을 들였지만 명예도 얻지 못하는 것”이라며 “엄격하게 관리하겠다고 하지만 앞으로 갱신율은 더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자 안전과 의료 질 향상을 목적으로 수술 전후 입원환자 치료를 담당하기 위해 외과계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2016년 정부 시범사업을 통해 증면된 입원 환자 만족도 향상과 재원 기간의 감소 등 가시적인 성과를 짧은 기간동안 내고 있다. 2019년 10월 현재 10개 기관에서 49여명의 전문의가 외과계 입원전담전문의로 근무하고 있으며, 전공의 3년제 수련과 전공의 특별법으로 인한 업무 공백과 맞물려 점차 그 수요와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제도 도입 단계여서 입원전담전문의라는 새로운 직종의 역할 정립이 충분하지 않고, 필수 역량, 입원전담전문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등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우용 대한외과학회 학술위원장은 “일단 입원전담전문의가 가져야 할 역량을 정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면서 “현재 의협에서 입원전담전문의 정착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는데 그곳에서 집중하는 것이 제도를 법제화해서 본 사업으로 원활하게 가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입원전담전문의의 역량을 정의하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