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 취임 직후 韓日獨서 미군철수 타진…韓방위비 매년 70조 주장”
-매티스 전 장관의 비서관 신간 펴내
-매티스 재임 시절 각종 일화 소개
-"트럼프, 동맹국 주둔 미군 철수 타진"
-"韓, 방위비 70조 내야 괜찮은 거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대동하고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초기 한국과 일본, 독일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철수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한국이 주한미군에 매년 70조원을 내야 괜찮은 거래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임스 매티스 전 미국 국방장관의 연설문 비서관이었던 가이 스노드그래스는 29일(현지시간) 발간한 신간 ‘선을 지키며: 매티스 장관의 국방부 내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해외 주둔 미군에 드는 비용에 대해 불평하면서 이런 뜻을 보였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이런 문제를 당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언급했다고 한다.

트럼프 정부의 외교안보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동맹국과 해외 주둔 미군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 2017년 7월 20일 미 국방부에서 브리핑을 열었다. 준비 과정에서 틸러슨 당시 국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과 다른 나라들의 관계를 평가하는 12개 경제적 효용성 지표를 만들었으며, 그 기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관점에서 한국이 최악이라고 말했다고 스노드그래스는 전했다.

대통령을 상대로 처음 열린 미 국방부 브리핑에서 매티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의 안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이 왜 중요한지, 양국이 미군을 위해 어느 정도의 비용을 분담하는지 등을 설명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 브리핑 이후에도 한국, 일본, 독일의 동맹국들에 대한 시각을 바꾸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이 자리에서 “한국과 일본은 미국을 이용하고 있다”며 “한국은 우리를 과도하게 이용해왔던 나라”라고 했다. 그는 “중국과 한국은 여기저기에서 우리를 벗겨 먹는다”며 “중국과 무역전쟁을 벌일 준비가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대선후보 당시 한미FTA를 ‘끔찍한 협정’이라며, 경쟁자인 힐러리 클린턴을 공격하는 정치적 소재로 사용했었다. 그러나 이런 인식은 한미FTA 개정협정이 발효되면서 상당히 바뀌었고, 지난 21일 백악관 각료회의에서는 “한미FTA 개정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좋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군 주둔비용과 관련해서는 현재까지 “한국이 더 부담할 수 있고, 더 부담해야 한다”며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미 외교안보팀은 2018년 1월 두 번째 국방부 브리핑을 열었지만, 여기서도 해외 미군 주둔에 대한 트럼프의 태도는 달라지지 않았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미군 주둔의 대가로 미국이 무엇을 얻고 있는지 집요하게 캐물었다고 한다. 매티스 장관이 해외 주둔 미군은 안보 측면에서 ‘이불같은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손해 보는 장사”라며 “(만약 한국이) 주한미군에 1년에 600억달러(약 70조원)를 낸다면 괜찮은 거래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올해 한국 부담액이 1조389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약 70배를 원한 셈이다. 현재 미측은 한미 방위비 협상에서 내년 방위비로 약 6조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매티스 전 장관은 스노드그래스의 신간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으며, 매티스의 측근은 스노드그래스에 대해 “일부 회의의 기록을 담당하는 주니어급 참모였으며, 의사결정에 어떤 역할도 하지 않았다”며 평가절하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