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토야마 전 총리 “日 지도자 도량 있으면 한일관계도 회복할 것”
-아베 직접 거론하며 “일본, 과거사 사과해야”
-전날에도 “청구권 문제, 아베 생각 반만 맞아”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전 일본 총리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경색된 한일관계를 두고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향해 또 날선 비판에 나섰다. 한국을 찾아 강제 징용공 배상 문제를 두고 아베 총리를 비판했던 하토야마 전 총리는 이번에는 아베 총리를 거론하며 “도량이 있다면 한일관계도 회복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지난 28일 국회에서 열린 3ᆞ1운동 UN 유네스코 평화대상에서 국제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뒤 자신의 SNS를 통해 “식민지 시절 독립운동의 적이었던 일본인에게 평화상을 주는 한국의 도량에 감명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일본의 지도자에게도 도량이 있으면 한일관계는 예전의 좋은 상태로 돌아갈 것”이라며 사실상 아베 총리를 직접 거론했다. “나는 특별한 일을 하지 않았다”고 말한 그는 “과거 일본이 저지른 일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는 일본인 중 한 사람일 뿐이다. 일본은 피해자에게 마땅한 보상을 하지 않았고, 피해자가 그만하라고 할 때까지 사과해야 한다”며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한 평소 입장을 다시 표명하기도 했다.

전날에도 경기 용인시의 한 교회 초청 예배에 참석했던 하토야마 전 총리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을 놓고 보면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는) 국가 간 계약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국제인권조약을 살펴보면 절반은 틀린 것”이라고 일본 정부의 입장과 다른 견해를 냈다. “가해자인 일본 입장에서 생각할 때 일본이 식민지 지배를 통해 (한국에) 압박과 괴롭힘을 준 것을 일본 사람들이 많이 알아야 한다. 이것을 알고 사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본 내 대표적인 지한파 정치인으로 동아시아공동체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는 하토야마 전 총리는 지난 2015년에도 서울 서대문형무소를 방문하고 지난해에는 경남 합천에서 국내 원폭 피해자들을 만나 무릎을 꿇고 사과하는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사과를 촉구해왔다. 특히 한국 정부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를 결정한 직후에는 “징용공이 실마리가 된 한일 대립이 최악의 전개가 됐다. 원인은 일본이 한반도를 식민지로 만들어 고통을 줬기 때문”이라며 아베 정부를 비판하기도 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