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불·도심 대기오염…빅데이터로 대응정책 찾는다
국민권익委·소방청 등 9개기관
범정부 빅데이터 분석사업 돌입
2020년 1월까지 5개 과제 수행

국민권익위원회, 소방청, 창원시 등 9개 기관이 정책 결정에 필요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산불대응, 도심 대기오염 감축, 민원 대응, 청년 지원 사항 발굴 등 5개 과제를 함께 해결한다.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내용의 ‘2019 범정부 빅데이터 분석사업’을 내년 1월까지 벌인다고 18일 밝혔다.

올해로 5년차를 맞은 범정부 빅데이터 분석은 더 나은 공공서비스를 위해 공공과 민간의 빅데이터를 분석, 정책결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공모와 기획을 통해 선정된 국민권익위원회, 소방청, 국민연금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소비자원, 한국교육개발원, 대구시, 강원도, 창원시 등 9개 기관이 함께한다. 이들은 5개 빅데이터 과제를 수행한다.

먼저 국민권익위와 한국소비자원은 ‘국민불편 해소를 위한 민원과 국민 여론 융합 분석’을 주관한다. 이 분석은 두 기관이 각각 운영하는 국민신문고와 소비자상담센터 1372에 쌓인 민원 정보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뉴스 등 각종 온라인 여론과 비교 분석하는 내용이다. 두 기관이 데이터를 교류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두 기관의 민원 발생 유형을 분석하면, 앞으로 민원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소방청은 강원도와 함께 ‘산림인접지역 소방용수시설 설치 우선순위 도출’ 과제를 추진한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대형 산불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자는 취지에서다. 화재 발생화 진화의 패턴, 인구·상수도 등 각종 환경 요인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소방용수확보 취약지수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렇게 개발된 취약지수는 향후 소방시설물 설치 계획에 활용된다. 국민연금공단은 창원시와 함께 ‘지역 내 개인소득·소비와 기업활동 빅데이터 분석’ 과제를 맡았다. 두 기관은 인구현황, 개인 소득·소비, 기업 활동 등 지역 내 경제활동을 분석해 경제활동 요인 간 연관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 내 경제활동 위기 지역과 개선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대구시와 함께 ‘디지털운행기록장치(DTG) 데이터를 활용한 도심지 대기오염 분석’을 추진한다. 상업용 차량에 부착된 디지털운행기록장치를 활용해 차량 운행 기록을 분석하는 것으로, 차량 운행이 도심지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육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취업 및 진로 가이드 제공 과제’를 주관한다. 대학 졸업자 데이터를 분석해 다양한 취업·진로 정책의 효과성과 실효성을 모니터링하는 분석이다. 예컨대 어떤 교육을 받은 사람이 어떤 직업을 갖게 되는 지를 추적해, 전공과 진로와의 관계를 따져본다. 한국교육발원은 나아가 청년층이 스스로 직무 경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직종·진로 추천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2015년부터 매년 선정된 빅데이터 분석과제의 성과 공유를 위해 다음해 1월 범정부 성과공유대회를 열고 있다. 실제로 성과가 나타났다. 사업 첫해 이뤄진 전주시 지역관광 활성화 분석의 경우 월별·연령별 매출, 관광객 수, 관광경로 등의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관광정책 발굴과 관광객 편의 개선을 추진한 결과 이듬해 관광객 13% 증가, 1000만 명 돌파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